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Buddhism of Lingzhou Ho-lan Mountains in the Tang Dynasty and Muru

DOI : 10.35160/sjekh.2018.08.29.119

본 논문은 신라 중대 입당구법승인 무루가 중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피기에 앞서, 그의 교화지역인 靈州의 사회적·사상적 배경을 살피고, 그의 보승불신앙이 이 지역에서 갖는 의미를 추적한 글이다. 무루의 교화지역은 영주의 하란산 일대가 중심이 되었으나, 큰 틀에서 삭방절도사의 관할 지역으로 확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다양한 민족들이 섞여 살았으며, 유목문화와 농경문화가 혼재했던 지역적 특징을 보인다. 하란산 지역의 불교문화의 특징으로 천수천안관음보살신앙이 유행했으며, 刺血佛事의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이 지역에 밀교적 교풍이 확산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무루의 영향을 받았을 것 같은 승려로는 증인을 들 수 있으며, 증인의 영향을 받은 제자로는 도주가 있다. 增忍과 道舟는 백초곡에서 수행한 바 있고, 관음신앙자였으며, 爲法忘軀의 간고한 수행은 血經, 血畵를 남겼다. 보승불은 축생(水生)에 대한 布施, 放生 등의 자비를 강조하는 여래로 등장한다. 한편 『염구아귀경』, 『구아난경』 등에서는 보승불이 아귀의 救拔과 관련한 내용을 전하고 있다. 이들 사례만을 보면, 보승불은 축생, 아귀 등 삼악도의 중생을 제도하는데 깊이 연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승불신앙은 하란산 일대의 북방 유목민족들을 교화하는데 유효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explores the impact of Muru's influence on Chinese society. He was a Buddhist monk who entered the Tang Dynasty to learn Buddhism.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region where Muru was educated and the soci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region. Next, I traced his edification. The edification area of Mulu was centered on the Haran Mountain of Yeongju. However, I thought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into the jurisdiction of ShuòfāngJeoldosa(朔方節度使). Various ethnic groups live together in shuòfāng areas, show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xed cultures of nomadic cultures and agricultural cultures. In particular, Goguryeo displaced people lived there. As a result, Muru seems to have interlinked with displaced people. In this area, the Cheonsu cheonan Avalokiteśvara faith was popular. Monks also painted Buddhist statues or copied Buddhist scriptures with their own blood. This fact reflects the widespread spread of Esoteric Buddhism in the area. A monk Jeungin(增忍) and Doju(道舟)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Mulu.

Ⅰ. 머리말

Ⅱ. 무루와 하란산

Ⅲ. 하란산 백초곡의 불교문화

Ⅳ. 무루의 보승불신앙과 영주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