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Review on the Textbook Public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1945~1950) and the Descript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DOI : 10.35160/sjekh.2018.08.29.155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에 통일된 민족국가를 수립해야한다는 시대적 요구가 있었다. 동시에 남한에 진주한 미군정은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을 막고, 남한에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미군정은 역사·지리·공민을 통합한 사회생활과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하였고, 교육을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과목 명칭만 사회생활과로 바뀌었을 뿐 역사·지리·공민은 여전히 분리되어 운영되었고, 한국사·동양사·서양사 교과서는 각각 편찬되었다. 그리고 해방 직후 발행된 한국사 교재와 교과서는 대부분 민족을 주체로 민족의 영광과 발전에 대해 서술하였다. 즉, 외형적 측면에서 한국사를 사회생활과에 포함시키는 것은 성공하였지만, 사회생활과를 통해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던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실현되지 못했다. 한국사 교과서는 한국인들이 한국사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삼국 통일에 대한 인식은 삼국 통일에 대한 교과서 서술에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현재 한국사 교과서의 삼국 통일에 대한 서술이 해방 직후 발행된 한국사 교과서에서 대부분 등장하고 있다. 즉, 해방 이후 지금까지 삼국 통일에 대한 평가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삼국 통일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에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할 때이다. 고구려·백제·신라가 하나의 민족이었다는 대전제에서 벗어나 삼국을 각각 독립된 국가로 인식해야한다. 만들어진 민족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로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삼국을 바라볼 때, 신라의 삼국 통일도 그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ere was the social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 state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U.S.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had the intention of preventing the spread of communism and establishing an American democratic nation in South Korea.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troduced Social Studies into which History, Geography, and Kongmin were incorpor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ried to employ education as an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an American democratic nation in South Korea. However, although the subject name changed to Social Studies, History, Geography, and Kongmin were still taught separately and Korean History, East-Asian History, and World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individually. As a whol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described the nation's glory and prosperity. focusing on nation as a subject matter. That is, on the formal aspect, it was successful to the extent that Korean History was included in Social Studies, but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 build an American democratic nation in South Korea was not realized.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important norms for Koreans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ir history. Consequently, it is no doubt that the descript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sh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Koreans. The descript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in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can be seen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t means the historical evaluation about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has been rarely changed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up until now. Now is the time to se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in a new light with new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Departing from the premise that Goguryeo, Baekje, and Silla are the same nations, the Three Kingdoms should be recognized as individual independent countries. When Three Kingdoms are seen not from the perspective of “manufactured” concept of nation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ancient countries which existed as a historical fact, the Silla's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has its own significance accordingly.

Ⅰ. 머리말

Ⅱ. 해방 직후 교육과정 수립과 한국사 교육의 방향

Ⅲ.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