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The Significance of the Triple Stylobate Stone Stupa at the Temple Site in Heungjeon-ri, Samcheok City

DOI : 10.35160/sjekh.2018.08.29.355
  • 2

이 글은 삼척시 흥전리사지의 삼층석탑이 갖는 미술사적 의미를 찾아보는 데에 있다. 그런데 이 탑은 기단부가 삼층인 三重基壇 석탑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삼중기단을 가진 석탑은 현재 총 4기뿐이다. 그러므로 삼중기단의 등장부터 추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단부와 탑구들을 분류해 본 결과 매우 다양한 기단부와 탑구의 형태가 나타났고, 삼중기단도 그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석탑 기단부와 탑구에서 광범위하게 동시에 나타나는 특정한 공통양식은 찾을 수 없었다. 이것은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온 無垢淨經이 탑을 건립하는 신앙으로 작용하였지만 석탑의 기단부 및 탑구의 양식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와 9세기 이후에 등장하는 탑 앞에 설치된 拜禮石[奉爐臺]과 탑 밑에 깔은 地臺石이 무구정경에 의하여 만들어진 無垢淨壇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현재 상당한 지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비판적 분석 결과 이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무구정경이 들어온 이후인 8세기부터 이미 석등 앞에도 배례석이 놓이고, 지대석도 9세기 이전에 등장하고 있어 설득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사료에서 무구정탑, 무구정단으로 불린 석탑들도 기단부가 서로 다른 형태이고, 무구정경과 소탑이 납입되어 발견된 석탑들도 기단부에서 특정한 공통된 양식을 찾을 수 없다는 점에서 입증이 된다. 이에 삼중기단 석탑의 출현에 미친 무구정경의 영향이 궁금하다. 우선 삼중기단의 출현 배경을 찾아보면 금당과 탑의 높이를 맞추는 것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에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은 무구정경 신앙으로 건립된 무구정탑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무구정경 신앙이 삼중기단의 출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대석 위에 안상이 조식된 최하층기단이 놓이는데, 이것이 무구정단을 의미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무구정경 신앙으로 많은 석탑들이 건립되었지만, 무구정경 신앙에 따라 경전의 내용이 기단부의 양식으로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탑은 삼중기단 석탑뿐이다. 따라서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무구정경 신앙이 석탑의 양식에 반영된 완결작이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양식 및 구조 변화의 최종작이라는 미술사적 의미를 가질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triple stylobate stone stupa at the temple site in Heungjeon-ri, Samcheok City in terms of art history. This stupa is a triple stylobate stone stupa. There were only 4 stone stupas with a triple stylobate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ce it from the appearance of the triple stylobate. To this end, the foundations and tapgu[stupa boundary] of stone stupa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were classified, and there were a great variety of foundations and tapgu, and the triple stylobate was one of them. However, there was no common pattern that appeared broadly at the foundation and tapgu of the stupa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Mugujeung-gyong, which was introduced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served as the religion for erecting the stupa, but did not affect the style of the foundation and tapgu of the stupa. But recently it was argued that the praying stone, installed in front of the stupa, which appeared in the 9th century, and the foundation stone beneath the stupa is Mugujeung-dan made by Mugujeung-gyong. This argument is receiving considerable support now. However, a critical analysi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is argument. After the 8th century when Mugujeung-gyong was introduced, a praying stone was already laid in front of the stone lantern, and the foundation stone appeared before the 9th century. Therefore, this argument is not convincing enough. Furthermore, historical data showed that the foundations of the stupas, which were called Mugujeung-stupa and Mugujeung-dan, had different shapes, and the foundations of Mugujeung-gyong and stupas with small stupas did not have any common style. If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triple stylobate is examined, for starters, it may be related to matching the height of the main building of the temple and the stupa. The triple stylobate stone stupa at the temple site in Heungjeon-ri, Samcheok City is believed to be Mugujeung-stupa erected by the Mugujeung-gyong religion. Therefore, the Mugujeung-gyong religion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the triple stylobat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lowest foundation,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with the shape of the elephant’s eye, means Mugujeung-dan. In this sense, many stupas were erected because of the Mugujeung-gyong religion, but the only stupa most likely to have the Mugujeung-gyong religion reflected as the style of the foundation, is the triple stylobate stupa. Th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pa in terms of art history is that may be a completed version with the Mugujeung-gyong religion reflected in the style of the stupa, and the final completion of the style and structural change of the stupas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Ⅰ. 머리말

Ⅱ. 통일신라시대 석탑 기단부 및 탑구의 개념·용어 검토

Ⅲ. 통일신라시대 석탑 기단부 및 탑구 유형의 전개 양상

Ⅳ. 무구정경 신앙과 석탑 기단부 양식 변화의 비판적 분석

Ⅴ.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