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Copies of Mural Paintings at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DOI : 10.35160/sjekh.2018.08.29.470
  • 11

분단 후 70여년이 지난 지금, 남북이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인식과 간극의 차이 또한 매우 크다.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북한은 인민을 교화 선전하는 수단으로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하였다. 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월북화가들을 중심으로 고분벽화 모사에서 출발해 현재까지 창작사 소속 미술가 집단을 중심으로 문화재의 모작과 복원을 활발히 하고 있다. 남북 간 문화재 개념의 시각차를 이해하고 통일시대 문화재 분야의 보존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는 북한의 미술품 모사 개념의 발단이라고 볼 수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의 전통과 성격에 대하여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해방 이후 북한지역의 고구려 벽화고분 발굴과 모사도 제작의 시작은 1949년 발굴된 안악1~3호분이며, 이는 고구려 벽화고분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벽화 모사는 계속해서 훼손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고분의 특성상, 발굴 당시 原畫의 상태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모사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초창기 북한에서 모사도 제작에 참여한 인물은 월북화가 출신의 정현웅과 손영기였으며, 1952년부터 안악3호분을 비롯한 다수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모사도를 제작하였다. 現狀模寫의 방식으로 그린 모사도는 일제강점기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가 제작한 모사도에 비해 매우 정교하게 기록되어 있어 원천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흑백사진, 유리건판 등에서 설명되지 못하는 벽화 고유의 색채는 물론 긴 세월에 걸쳐 진행된 벽화의 박락과 오염상태 등을 생생하게 기록한 모사도는 이후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의 범본으로서 활용되었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는 문화재 원형 기록이라는 목적 외에도 해외 선전용으로 재생산되었다. 1952년 헝가리 전시를 비롯해, 다수의 해외 전시를 위해 집체화 제작 형태로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수십 기의 모사도가 제작되었다. 1985~1987년 일본 순회전시 뿐 아니라 1990년대~2000년대 초 한국에도 북한 화가들이 제작한 모사도가 전시된 바 있다. 북한에서 고구려 벽화의 해외전시와 대중전시에 적극적인 이유는 정권의 역사적 정통성을 가시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북한 고유의 역사가 아니라 한민족의 고대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인식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왔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는 시기별 벽화의 상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자 문화재 복원을 위한 원천 자료가 되며, 나아가 전시 및 교육용으로 활용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계승해나가야 하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준다.

Jeong Hyeon-ung (1911-1976) and Son Yeong-gi (1921-?), two painter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participated in the initial projects of reproducing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On two occasions, once in 1952 and again between 1962 and 1963, they copied mural paintings at several Goguryeo tombs, including Anak Tomb No. 3. The reproductions by Jeong and Son abided by the principle of copying the present state (現狀模寫) and took on great significance a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since they recorded damage to the murals more elaborately than had Oba Tsunekichi(小場恒吉, 1878-1958). The early copies of tomb mural paintings vividly documented the innate colors within the mural paintings that could not be represented in black and white photos or dry plate glass negatives. They also present the flaking and contamination that developed over the centuries. These copies were used as prototypes for later reproductions of Gogoryeo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So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North Korea worked to excavate ancient remains and produce copies of mural paintings as part of its efforts to demonstrate its historical legitimacy. Beginning in the 1970s, North Korea reproduced mural paintings from tombs located in Jilin, China using photographs taken on-site were used. North Korea produced copies of Goguryeo tomb mural paintings not only as records of original cultural assets, but also for international publicity. Dozens of mural copies that required a great deal of resources were collectively produced for display at several overseas exhibitions, including one held in Hungary in 1952. The reproduced murals were included in traveling exhibitions in Japan from 1985 to 1987. Moreover, in the 1990s and early 2000s, copies created by North Korean painters were exhibited in South Korea as well. North Korea appears to have promoted these overseas and public exhibitions of Gogoryeo mural paintings as a means to illustrate its historical legitimacy. This resulted in the positive outcome of shedding light on both North Korea’s history and the value of the ancient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eople. The reproductions of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transmit an important message to the modern people who inherit and preserve cultural heritage since they serve as crucial records informing about the periodical changes in mural painting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for use in restoring cultural assets, and precious institutional materials.

Ⅰ. 머리말

Ⅱ.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 배경

Ⅲ.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특징

Ⅳ. 고구려 고분벽화 보존을 위한 모사도의 활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