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신라 군역과 관련한 여러 사례들을 재검토한 후 신라 군역의 형태를 구분하고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隋書』 新羅傳에서 확인되는 신라의 군역 관련 구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軍·烽·戍·邏’가 당시 신라의 군역 형태라는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신라의 군역은 그 역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었다. 먼저 군사조직에 배치되어 전투병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軍이 있다. 다음으로 眞平王代부터 군사요충지마다 설치된 봉수에 배치되어 군역을 수행하는 형태인 烽, 변경에 있는 赴防에 배치되어 변경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 戍가 존재했다. 또한 각 지방에 일정한 지역마다 배치되어 巡邏하고, 담당 지역에 변고가 생길 경우 해당 지역에 배당된 役을 대신하는 예비적 역할을 한 邏가 있다. 이는 중국에 간 신라 사신들을 통해 전해져 알려지게 되었다. 각각의 군역은 『삼국사기』를 비롯한 여러 사료에서 다양한 사례가 확인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신라의 군역에는 군사 창고를 담당하여 役을 수행하는 형태, 즉 倉職도 존재하였다. 이는 각 지역에 설치된 군사 창고에 배치되어 군자의 경비와 출납을 담당하였다. 또한 군량, 군자 등을 수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輸役이 존재했다. 輸役은 그 역할의 특성상 대체로 軍을 수행하는 이들과 연계되어 役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신라의 군역들은 병부의 설치와 율령반포를 거치면서 정형화된 운영 양상을 보였다. 군역 대상자들은 징집이 될 경우 병부를 거쳐 해당 군역을 수행했는데, 15세에는 예비자원으로서 자원할 경우 군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복무기간은 3년 1기였으나 형태별로 특징적인 운영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軍형태 중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나 비정기적이고, 단발성으로 징집·부과가 된 輸의 경우가 그러하다. 군역은 율령이 반포된 이후 관련 조문에 의거하여 운영되었다. 당시의 군역과 관련된 조문은 6~7세기 단계에는 전국적으로 전파가 이루어져 기준이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illa separated the types of military dut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sentences of the Suseo(隋書, History of Su). According to this analysis, it is interpreted that the forms of military duties in Silla were separated into four types of ‘Goon(軍)’, ‘Bong(烽)’, ‘Su(戍)’, and ‘La(邏)’. The military duties of Silla were divided into various forms based on their types. First of all, soldiers in ‘Goon(軍)’ were combat troops. Secondly, men belonged to ‘Bong(烽)’ were in charge of lighting a signal-fire in case of emergency at every strategic point since the time of King Jinpyeong(眞平王). Thirdly, people in ‘Su(戍)’ were the guards deployed along the border(Bubang 赴防). Lastly, people assigned to ‘La(邏)’ patrolled in the provinces, and sometimes carried out military services on behalf of the people in the disaster-stricken regions. This information became known through Silla’s envoys to China, and various historical records including Samguksagi(三國史記,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n addition, there existed ‘Changjik(倉職)’, people responsible for the munition stores. They were placed in each military warehouse in the provinces, and were in charge of expenses and payments. Also, people in ‘Suyeok(輸役)’ transported military supplies and carried out military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Goon(軍)’. As mentioned above, Silla had many different types of military duties. Each unit was operated in the formalized system under the Ministry of Military(兵部) and the Law Code(律令). Males were conscripted into the army for three years. Boys in the age of 15 could serve for the military duty when they volunteered. Silla operated the military system under the military law after the new legislation was enac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sixth to seventh century.
Ⅰ. 머리말
Ⅱ. 『隋書』 신라전에서 확인되는 신라의 군역
Ⅲ. 신라 군역의 제형태 양상
Ⅳ. 중고기 군역의 운영과 율령체제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