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통일기 三武幢의 설치와 麗濟 유민

The Installation and Its meaning of Sammudang(三武幢) in Unified Silla period

DOI : 10.35160/sjekh.2018.12.30.151
  • 55

신라는 문무왕 15년(675) 나당 전쟁의 막바지에 상황이 악화되자 한강 하류 임진강 유역의 군사력을 증강하였다. 삼국의 주된 쟁패지역이었던 지역에 지역적 연고가 강한 백제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군단을 신설한 것인데 바로 백금무당이었다. 백제인을 새로운 병력자원으로 삼아 군사력을 강화하였으며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이후 9서당에 여제 유민을 대상으로 한 군단이 계속 증설되었던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삼무당의 군관조직을 보면 전투에 알맞은 전형적인 군단의 모습이었다. 고위관등이 아닌 중간층이라는 점은 활발하게 작전을 전개하기에 적합했다. 군관의 유형에서는 기병이 보완된 보병군단이라는 특징이 잘 드러난다. 소수의 기병 지휘관은 이를 보여준다. 백제인이 나당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던 것은 자신들의 삶을 개척하려던 적극적 의지의 표현이었다. 백제는 소멸했지만 자신들의 공동체를 유지하며 생존 영역을 구축하고자 염원하였기 때문이었다. 삼국통일전쟁이 종식된 후 신라는 새로운 통치질서를 정립하려고 하였다. 장기간 총력전을 전개하였으므로 피폐해진 민생을 안정시키고, 군사적 기능에 편중된 정치질서도 전환해야만 했다. 신문왕은 권력기반의 제도적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무열·문무왕대 정책과 비교할 때 정치적 지향점은 비슷했을지라도 국왕권 강화의 측면에서 볼 때 그 강도는 차원이 달랐다. 9주제 실시 등 국가체제의 틀을 전면적으로 혁신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여제 유민에 대한 신라화 정책도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 신문왕의 측근이 주요 거점에 파견되었던 것은 그러한 목적을 담고 있었으며, 「청주운천동사적비」의 三韓은 당시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반발도 나타났다. 대문의 난이 그것으로 여제 유민의 고유한 정서와 질서를 지키고 싶어 했던 바람이었다. 결국 난은 진압되었는데 이는 신라 지배질서의 평시 체제로의 전환과 여제 유민의 신라화 정책 추진에 따른 불가피한 성장통이었다. 신문왕은 제도정비를 통해 왕권을 구조적으로 강화하려고 하였다. 국왕 중심으로 군사력을 재편하고, 일통삼국을 달성한 명실상부한 통일국가의 위상을 세우려 하였다. 나당 전쟁과 대문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활약한 여제 유민이 중앙군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군의 완성은 단순한 양적 확대에 그친 것이 아니라 직할군단의 체계화에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 시위군-근위군-친위군으로 시위부-구서당·삼무당-십정이 구축되었다

As the situation worsened at the end of the 15th year of King Munmu's reign (675), Silla increased its military strength in the Imjingang River downstream of the Han River. It was a group of people from Baekje who had strong regional connections to the region, which was the main battlefield of the Three Kingdoms. By using the people of Baekje as a new source of military strength, the results were positive. The fact that an extension of the corps aimed at the emperors of the ruling party was subsequently established in Seodang proves this fact. Looking at Samudang's military organization, it was a typical military force suitable for combat. The fact that it is a middle class, not a high-ranking official, was suitable for active operation. The type of military officer shows the character of the infantry corps supplemented by cavalry. A handful of cavalry commanders show this. It was an expression of an active will to explore their lives that the people of Baekje were outstanding in the war against the Silla-Tang. Although Baekje was extinct, it sought to maintain its community and establish a survival zone. After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Silla sought to establish a new ruling order. As the war was fought for a long time, it had to stabilize the lives of the people and change the political order focusing on military functions. The king Shinmun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system based on power. Although the political orientation was similar compared to the policy of the military and the military, the intensity was different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Policies to overhaul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system were implemented,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9ju system. The Silla Dynasty's policy on the emperors was also actively implemented. The king Shinmun’s close aide was sent to a major hub for that purpose, and the atmosphere of “Cheongju-uncheondong stela” is well illustrated. However, there was a backlash against him. The Daemun's rebel was it's wish to keep the people of Baekje and Goguryo unique feelings and order. In the end, the uprising was put under control, an inevitable growth headache caused by the transition to the peacetime system of Silla's ruling order and the promotion of the policy of the emperors to Silla. The king Shinmun tried to systematically strengthen the kingdom by institutionalization. He tried to reorganize the military power around the king and establish the status of a unified nation in name and substance. Also, the completion of the Central Command was not just quantitative expansion but political goals in the organization of the direct military.

Ⅰ. 머리말

Ⅱ. 나당전쟁의 격화와 白衿武幢의 창설

Ⅲ. 평시 체제로의 전환과 麗濟 유민의 신라화

Ⅳ. 친위 군사력의 확대와 赤衿·黃衿武幢의 창설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