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사기』 고구려·백제의 별자리목록과 천문성변기록 분류 연구

A Study on the Star Charts of Koguryo and Baekje, and a Classification of Their Astronomical Abnormalities as Recorded in the Samguksagi

DOI : 10.35160/sjekh.2018.12.30.399
  • 20

고대사회에서 천변의 관측과 그에 대한 재이론적 해석은 고대 정치사상과 자연학 관점을 이해하는 중요한 범주이다. 고대천문학에서 천변은 일변과 월변 및 성변으로 크게 나뉘고, 성변에는 주기가 일정한 오성변과 일정하지 않는 객성변, 상서로운 기체 등이 포함된다. 본고에서는 성변 천문학의 분류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중국의 分野論을 우선 정리하였고, 또 『東國文獻備考』의 천변 분류에 기초하여 『三國史記』의 삼국본기별로 원사료 자체를 필자가 새로 마련한 ‘천변기록 분류편목안’에 따라 재구성 분해하였다. 「고구려본기」의 성변기록에 수록된 별자리 명칭은 불과 5종만 확인되어, 고구려가 천문도 체계를 본격 운영했다기에는 어려운 정황을 보인다. 그렇지만 이와 달리 유물학의 일환인 고구려 벽화천문도에서는 5세기 후반 추정 덕화리2호분에서 중국보다도 이른 시기의 유물 28수 별자리 圖名을 입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문헌과 유물의 양방면 연구를 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 보았다. 또 「고구려본기」에 2건 수록된 熒惑守心 기록은 대조 결과 『한서』와 『후한서』에도 동일한 사건이 수록되어 있으나, 더 세밀한 기록성을 지니기도 하는 까닭에, 고구려의 관측천문학 관점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게 한다. 「백제본기」의 성변 기록은 중국사와 대조한 결과, 비동일성 성변기록이 16건, 동일성의 성변기록이 17건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특히 역일간지 성변기록 10건은 『후한서』 『진서』 『송서』 『위서』 『양서』 『남사』 『북사』 『수서』와 동일한 기록임을 확인하였다. 또 이 과정에서 「백제본기」에는 누락된 성변의 발생 역일을 보충하기도 하였다.

In ancient age society, observations to the astronomical heavenly abnormalities(天變) and explanations to them are important categories to understand ancient-age political ideas and natural sciences. On the view of ancient-age astronomy, astronomical heavenly abnormalities can be categorized by astronomical solar abnormalities(日變), astronomical lunar abnormalities(月變),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星變) at first.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include periodic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five planets(五星變), non-periodic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guest comets(客星變) and (non-periodic) auspicious aero-phenomenon. In this paper, I gave explanations about Chinese ideas on celestial division(分野論) first. And then I arranged and classified original materials themselves in annals of Samguksagi(『三國史記』) within my ‘The classification and catalog chart on astronomical heavenly abnormalities.’ It was based on the divisions of astronomical heavenly abnormalities in Donggukmunheonbigo(『東國文獻備考』). On Annal of Koguryo(「高句麗本紀」), I could find only five names of constellations on the records of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Following that, it is difficult to think that Koguryo managed their own astronomical chart in earnest. However, in the celestial map drawn in Deokhwa-ri II tomb mural made in the late 5th century, which is a part of materials for studies on antiquity, we can find well-drawn celestial bodies and name lists of the twenty-eight mansions. It is an earlier relic than even the Chinese one. Therefore, we should approach this problem at the academic view on both historical records and relics. Furthermore, two records in Annal of Koguryo on “Yínghuò stayed at Xīn[熒惑守心]” was similar to the records of Book of Han(『漢書』) and Book of Later Han(『後漢書』). It seems that both recorded the same events, but Koguryo’s ones are more detailed. So we can interpret it as records of the observational astronomy of Koguryo more positively. I also compared the records of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in the Annal of Baekje(「百濟本紀」) with Chinese historical records. As a result, 16 records can be interpreted as not equal ones to the Chinese ones, and 17 records as equal ones to Chinese ones. Especially, 10 records with the sexagenary cycle(干支) was the same with the records of Book of Late Han, Book of Jin(『晉書』), Book of Song(『宋書』), Book of Wei(『魏書』), Book of Liang(『梁書』), History of Southern Dynasties(『南史』), History of Northern Dynasties(『北史』) and Book of Sui(『隋書』). Furthermore, I complemented the date of occurrence of astronomical abnormalities of stars by this work.

Ⅰ. 서론: 고대 성변의 천문학과 『삼국사기』 천변기록 분류안

Ⅱ. 「고구려본기」의 성변과 별자리 목록

Ⅲ. 「백제본기」의 성변과 별자리 목록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