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 武寧王과 王妃의 喪葬禮

The Funeral of King Muryeong and Queen of Baekje : About ‘Bin(殯)’ and Temporary Burial(假埋葬)

DOI : 10.35160/sjekh.2019.12.33.221
  • 30

본고는 무령왕과 왕비의 喪葬禮에 대하여 묘지석과 문헌 기록 및 고분에 대한 약간의 고고학적 성과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동안 무령왕과 무령왕비의 상장례 기간은 만 27개월인데, 이 기간은 服喪 기간이면서 殯 기간이기도 한 것이 백제적인 특징으로 언급되었다. 그런데 무령왕릉의 묘제와 부장품이 거의 완전히 중국적이라는 점에서, 그 상장례도 완전히 중국적이었을 것이란 견해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백제 지역에서는 기존의 木棺墓와 木槨墓의 葬法이 잔존한 상태에서 무덤의 구조만 橫口式, 재료만 돌로 바뀐 石棺墓의 예가 많다는 점에서, 필자는 무덤의 축조 방법과 부장품이 갑자기 중국식으로 달라졌다고 해도 상장례까지 중국식이 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무령왕릉을 전후로 한 시간과 공간의 葬禮, 특히 백제의 특징적인 것으로 보았던 殯과 假埋葬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특히 『翰苑』에 인용된 『括地志』에는 “山中 埋殯”이라고 기록하였는데, 이는 백제의 상장례에서 산에 오랜 시간 동안 가매장하는 빈을 행했던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looked at the funeral of King Muryeong and Queen, using documents, tombstones and som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n tomb stele.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King Muryeong and Queen Muryeong's funeral period has been 27 months, and this period has been mentioned as a characteristic of Baekje, which is both mourning period of Boksang(服喪) and Bin(殯). However, given that the tombs and burial accessories of King Muryeong were almost completely Chinese style, it was suggested that the funeral would have been entirely Chinese style. However, in the Baekje area, there are many examples of stone coffins where only the structure of the tomb was changed to a cross-section and materials were changed to stone. So I understood that it was problematic to assume that Baekje’s funeral custom was totally changed Chinese style based on conversion of tomb’s construction and burial accessor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before and after period of King Muryeong's tomb and funeral custom, especially the ‘Bin(殯)’ and temporary burial. In particular, it was recorded as “山中 埋殯” in the 『Gwaljiji(括地志)』 cited in the 『Hanwon(翰苑)』, which showed the typical example of Baekje’s ‘Bin(殯)’ and temporary burial on the mountain for a long time.

Ⅰ. 들어가며

Ⅱ. 무령왕릉 墓券에 나타난 상장례

Ⅲ. 백제 한성기 왕릉의 상장례와 웅진기의 제단 유적

Ⅳ. 고구려와 백제의 빈장

Ⅴ. 일본의 빈 의례와 백제 무령왕릉

Ⅵ. 무령왕과 왕비의 ‘埋殯’ 추정과 사비기로의 계승

Ⅳ.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