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칠중성의 영유권 변천과 전략적 역할

Sovereignty Transition and Strategic Role of Chiljung Castle

DOI : 10.35160/sjekh.2019.12.33.333
  • 4

칠중성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에 있는 중성산 정상부에 위치하며, 삼국시대에 축조한 테뫼식 산성이다. 칠중성이 위치한 적성지역은 임진강 중류의 남쪽 강안에 위치하여 황해도 지역과 한강유역을 연결하는 곳으로 교통의 요지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칠중성의 축성 문제와 관련하여 성의 형태는 테뫼식 산성이고, 성의 구조는 복곽성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처음 축조된 것은 4세기 초기에 백제에 의하여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한강유역과 임진강유역에서 치열한 각축을 벌이면서 칠중성을 번갈아 차지하였으며, 나당전쟁 때에는 당군이 침공하여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하였다. 또한 698년 발해가 건국할 때와 신라 중대 패강진을 설치할 때에도 전략적인 요충지로써 중요한 교통로의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11세기 중기 이후에 그 역할이 축소되면서 늦어도 조선 초기 이전에는 폐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칠중성의 전략적인 역할은 지리적인 측면과 군사적인 측면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칠중성이 위치한 적성지역은 교통의 요지로써 배가 없어도 임진강을 건널 수 있는 도강의 최적지라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교통로는 장단에서 개성을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금천으로 갈 수 있는 ‘黃卵嶺路’를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이 노선은 적성에서 평산으로 가는 최단거리의 용이한 노선이다. 적성지역은 삼국시대에 임진강유역을 방어하는 핵심지역이었다. 칠중성은 임진강을 건너 남하하는 고구려세력을 방어할 수 있는 신라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주변의 성들을 매개하는 신라의 거점성의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신라가 7세기 전기에 임진강유역과 한탄강유역의 관방체계를 완성한 것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또한 칠중성을 교두보로 삼아 예성강 이북의 서북지방을 거쳐 평양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충지였다.

Chiljung Castle(七重城) is a mountain fortress buil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Jeokseong Region(積城地域) is major traffic point and strategic point located in the south riverside of the midstream of Imjin River. Chiljung Castle is presumed to have a Temoe type mountain fortress, and structure of multiple folds castle. And it was first constructed by Baekje in the early of the 4th century. Chiljung Castle was occupied by Baekje·Koguryo·Silla alternately after the 4th century and at war between Silla and Tang(唐), it was invaded by Tang’s soldiers. In 698, when Balhae(渤海) was founded and Paegangjin(浿江鎭) was established in the Middle Silla, it played an important role of traffic route as strategic point.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1th century, as it role was reduced, so it is assumed to have been destroyed at lease before the early of Joseon Dynasty. The strategic role of Chiljung Castle can be divided into a geographical field and a military field. Jeokseong Region where Chiljung Castle is located, is most significantly evaluated as the best location of crossing Imjon River without a vessel as it is a traffic point. As a traffic route, ‘Hwangnanryeongro(黃卵嶺路)’ was newly presented, which is an easy route. the shortest distance going to Pyeongsan(平山) where Paegangjin was set up. Chiljung Castle was the strategic point of Silla to defend Koguryo which crosses Imjin River and moves south and played a key base castle of Silla which mediates surrounding fortresses. It is most importantly assessed that Silla completed the military defense system of basin of Imjin River and that of Hantan River in the early of the 7th century. Also making Chiljung Castle as a bridgehead, it was a strategic point entering into Pyeongyang(平壤) through the north of Yeseong River.

Ⅰ. 머리말

Ⅱ. 칠중성의 형태와 구조 및 초축

Ⅲ. 칠중성의 영유권 변천

Ⅳ. 칠중성의 전략적 역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