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0년대에 전개된 新羅-唐 전쟁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발발된 전쟁이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주목을 받아왔다. 종래에는 전쟁의 원인에 대해 신라와 당이 옛 百濟의 영토를 두고 이해관계가 상충되면서 발발한 전쟁으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三國史記』 金庾信傳에 의하면 당은 이미 660년 백제 泗沘城 함락 직후에 은밀히 신라까지 공격하려고 했으나, 신라가 대비를 하자, 철군했다고 한다. 이에 의하면 신라-당의 근본적인 전쟁 원인은 당의 팽창 야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오직 김유신전에만 전하고 있기 때문에 교차검증을 하는 것에 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이 기사를 간과하거나, 부정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반대로 이를 긍정하여 적극적으로 분석한 견해는 극소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삼국사기』 및 『日本書紀』 등의 관련 시기 내용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659년에 당은 백제 침공군을 편성하였으나, 동맹국이었던 신라에게 통보하지 않은 의심스러운 정황이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근래에 발견된 「馮師訓墓誌銘」에 의하면 660년 백제 공격이 성사되기 이전인 659년에 高宗이 蘇定方에게 雞林道大摠管을 제수했다고 한다. 주지하듯이 雞林道는 신라를 공격하는 군대를 의미한다. 이는 김유신전에 전하는 당의 신라 침공 계획 기사와도 일맥상통한다. 당은 백제로부터 신라를 구원하는 척하면서 은밀하게 침공할 계획까지 세워 강대국의 논리로 철저하게 기만한 것이었다. 650년대 당은 대내외적인 정황에 따라 대외팽창 정책이 강화되고, 주변국을 羈縻州化하여 천하를 통일하고자 하였다. 당의 신라 침공 계획은 이러한 분위기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당은 백제를 멸망시키는 과정에서 신라를 침공하는 행위가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것에 있어 실질적인 이득이 없다고 판단하여 잠정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신라는 멸망의 위기를 무사히 넘길 수 있었으나, 일부 당군은 여전히 백제의 옛 영토에 주둔했기 때문에 신라와 당의 전쟁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즉, 659년의 당의 신라 침공 계획은 천하통일의 완성과 중원 중심의 국제질서 확립이라는 팽창야욕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의 이러한 신라에 대한 야욕은 향후 670년대에 전개된 신라-당 전쟁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which was in the 670s,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it was a war that broke out in the course of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past, the cause of war was understood as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Silla and Tang over the territory of the former Baekje. Meanwhile, according to the Kim Yu Shin part of Samguk Sagi, Tang had already tried to secretly attack Silla right after the fall of the Sabi Castle of Baekje, but withdrew when Silla was prepared. According to th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can be attributed to Tang's ambition to expand. However, this information is only given in the Kim Yu Shin part of Samguk Sagi.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 reviewed the contents of related period such as Silla part of Samguk Sagi and Nihonshoki. As a result, in May of 659, Tang organized an expeditionary force for Baekje, but in October it revealed a suspicious situation that did not inform Silla, who was an ally. In this regard, a relatively recent discovery, “Feng Shixun’s grave name,” suggests that Emperor Gojong of Tang subcontracted the Gyerim Attacking army general to Su Dingfang in 659 before Baekje attack took place in 660. As you may be aware, Gyerim Attacking army general means an army that attacks Gyerimdo Island, or Silla. This showed that Tang's plan to invade Silla was real in 659. Tang pretended to save Silla from Baekje and secretly carried out the Silla attack plan, which was a thoroughly proud act of the great power. As for the cause of Tang's attempt to attack Silla, it is unknown due to the lack of records. In the 650s, Tang wanted to unify the kingdom by strengthening its foreign expansion policy in accordance with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and by making neighboring countries a signatory. Tang's plan to attack Silla is believed to have been based on this atmosphere. In the process of destroying Baekje, Tang temporarily suspended the invasion of Silla and continued its alliance with Silla, judging that it had no real benefits in destroying Goguryeo. As such, Silla was able to safely overcome the crisis of extinction, but the possibility of a war between Silla and Tang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because some of its troops were still stationed in the former territory of Baekje. In other words, Tang's plan to invade Silla in 659 stems from its expansion ambitions of completing the unific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establishing a central and central international order. This ambivalence on Tang 's Silla served as an important cause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in the 670s.
Ⅰ. 머리말
Ⅱ. 660년 前後당의 신라 침공 정황
Ⅲ. 659년 ‘雞林道大總管’ 검토
Ⅳ. 당의 신라 침공 계획 배경과 신라의 대응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