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영역에 있던 고조선 유민들은 시대를 거듭하면서 약화·쇠퇴의 과정을 겪으면서도 고조선 건국신화의 전통을 이어갔을 것이다. 고구려 건국 이후 주몽, 동명의 시조인식이 정립되어 가면서 그 집단들은 고구려에 동화되었고, 고조선 건국신화 역시 고구려 건국신화에 용해되었을 것이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선인의 후손임을 자처했던 비류국의 송양 집단도 그중 하나였다. 고구려 시조 주몽이 단군의 아들이라는 『삼국유사』 『왕력』의 기록은 고조선과 고구려의 역사계승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또 『삼국유사』 소재 『단군기』와 『제왕운기』 소재 『단군본기』에서 단군과 부루·주몽의 관계 역시 같은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5세기의 「광개토왕릉비」, 8세기 초의 「천남산묘지명」, 『국사』의 「고려본기」, 『삼국유사』 소재의 『고기』와 『단군기』, 『제왕운기』 소재의 『단군본기』 등에 전하는 단군과 주몽에 대한 출자전승은 시간성을 가지며 상호 교섭하고 있으며, 고조선과 고구려를 이어주는 역사계승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결과가 나타났다. 고조선과 고구려의 역사계승 문제에서 『제왕운기』에 전거하여 ‘선인’의 후예임을 자처했던 비류국 송양만을 단군과 연결시키기보다 범부여계·고구려계를 아우르는 인식론의 토대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주몽이 단군의 아들이라는 『삼국유사』 「왕력」의 기록은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송양 집단을 고구려에서 계루부 이전의 왕족인 연노부와 직접 연결시키려는 논의는 보다 큰 틀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특히 웅심산[웅신산]과 주몽의 관계는 단군과 해모수와 직접 관련된 것으로, 비류국 송양과의 관련성에서 해석될 문제는 아니다. 해모수가 유화를 그곳으로 유인하였음은 웅심산이 해모수와 연고가 있는 장소였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도 부루와 주몽이 단군의 아들로 설정되고 있는 배경을 유추할 수 있다. 5세기 중엽에 조영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장천1호분의 벽화중에서 수목숭배의 모습과 곰 호랑이가 그려져 있는 그림은 천신이자 조상신의 제의를 중심으로 지모신의 제의를 병행하였던 고구려 동맹제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수목숭배의 그림에서 다른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우람하게 그려진 백마는 고구려왕이 동맹제를 주관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그린 것이라고 짐작된다. 여기서는 이를 412년 장수왕의 즉위 또는 427년 평양 천도와 관련한 시조묘 제사 및 동맹제의에 참여한 인물과 관련한 것으로 추측하였다.
When discussing the historical succession of Goguryeo and Old Joseon, one must recognize the fact that no concrete documentation about these events exists. Among wall paintings on Goguryeo’s tombs, pictures dating from the early fifth century can be found which depict a bear and tiger leaning against a tree along with a drawing from the mid-fifth century found on Jangcheon tombs No. 1 showing a crouching bear under a tree. These pictures are related to motifs found in Old Joseon’s mythos and discussed in Samguk-yusa. Also among Samguk-sagi imperial records of King Dongcheon dealing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lies the phrase “Pyeongyang is lived in Seon-in Wang-geom”, in the late Goryeo record Jo Yeon-su’s epitaph states “Pyeongyang’s advent as Seon-in Wang-geom predated the Samhan era and lasted about one thousand years. He also became the Seon-in.” These and others are understood to be records of Old Joseon’s Tangun from the Goguryeo capital of Pyeongyang. Song-yang, the king of Biryuguk, whose rule as the Seon-in successor spanning several generations, can be seen as the king of the region, especially when one compares the revelation in Dong-myeong of heaven’s succession in Gu-samguk-sa’s Dongmyeonwang-bongi as quoted by Yi Gyu-bo(1168~1241) in Dongmyeonwang-pyeon. Recently, some scholars have used the records Dongmyeonwang-pyeon and Jewang-ungi as a basis for discussing the problems of historical succession in Old Joseon and Goguryeo, interpreting them to show Biryuguk’s Song-yang as the Seon-in successor related to Jeolro-bu in Goguryeo. This theory, however, reveals a fatal historical contradiction when set against the move south from Buyeo of various forces from that tribe as well as the concept of Old Joseon’s descendents, which are designated as Seon-in. In addition, belief in this theory requires overlooking the Samguk-yusa record definitively describing Jumong as Tangun’s son. Using this understanding of the records as its premise, this paper will attempt to deal with the problems evident in the perception of succession in Old Joseon. It will first distinguish between fact and fic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in the locations of Goguryeo. It will als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rrelations between motifs related to Tangun mythology present in Dongmyeong, a work which presents celestial worship during the Goguryeo period as well as records in Samguk-yusa related to Wangryeok, Tangun-gi and Dangun-bongi in Samguk-yusa and Jewang-ungi. Examining these records, considered to be a collection related to Songyang, we will consider them as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 successors to the throne, Gyeru-bu, rather than with the acknowledged former members of the throne in Yeonro-bu(Sono-bu).
Ⅰ. 머리말
Ⅱ.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출발, 태백산
Ⅲ. 부여계 건국신화에서의 단군과 부루·주몽의 혈연관계
Ⅳ. 고구려 동맹에서 고조선 건국신화의 요소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