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모죽지랑가의 시대적 배경 재론

The Chronological Background of Mojukjirangka Revisited: A New Inference on the Date of King Hyoso’s Birth

DOI : 10.35160/sjekh.2013.12.15.35

득오가 ‘모죽지랑가’를 지은 시기의 孝昭王은 『三國遺事』 ‘臺山五萬眞身’ 조의 기록대로 16살에 왕위에 올라 26살에 승하하였다. 그가 6살에 즉위하여 16살에 승하하였다는 학설은 『三國史記』의 元子와 王子를 동일시한 현대의 연구자들이 범한 오류이다. 『삼국사기』에서 687년에 출생한 元子는 691년에 태자로 봉해진 王子 理洪이 아니다. 왕자 이홍은 677년에 정명태자와 김흠운의 딸 사이에서 그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元子는 신문왕이 즉위한 후 태어난 그의 넷째 아들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신목왕후의 아버지로 기록된 一吉湌 金欽運은 『삼국사기』 ‘열전’의 金歆運과 동일인이다. 김흠운은 태종무열왕의 半子[사위]로서 655년 백제와의 陽山 아래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전사할 때 그는 어린 딸 하나를 남겼다. 이 어린 딸이 자라서 28살도 더 되었을 683년에 신문왕의 왕비가 되었는데, 그들에게는 혼인 전에 이미 理洪, 寶叱徒太子, 孝明太子의 세 아들이 있었다. 681년 신문왕이 즉위할 때 일어난 國舅 金欽突의 謀叛의 1차적 원인은 바로 김흠운의 딸이 낳은 이 세 아들들이다. 왕실은 이미 태어난 왕자로 후사를 이을 방침을 세웠을 것이고, 왕비인 딸의 미래를 걱정한 김흠돌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였을 것이다. 여기서 왕실은 김흠돌을 모반으로 규정하고 왕비인 그의 딸을 폐비시켰다. 그리고 그를 지지하는 많은 화랑도 출신 귀족들을 誅戮하거나 권력으로부터 逐出하였다. 이 김흠돌의 모반이 신라 귀족 사회 분열의 원인이 되어 이후 신라가 쇠락하는 데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竹旨 將軍은 함께 통일 전쟁에 참가하였던 많은 동료들이 죽임을 당하고 축출되는 불우한 정치적 상황에서 晩年을 보내고 효소왕 초반에 이승을 떠났을 것이다. 화랑도 활동 시절 竹旨郞과 돈독한 사이였던 ‘죽만랑지도’의 郎徒 得烏는, 죽지 장군이 사망한 후에 初喪 때나 小祥 때, 또는 그 사이 어느 추모 의식에서 輓歌로이 노래를 지었다. 이것이 나라의 興亡盛衰를 교훈하는 『三國遺事』 ‘紀異篇’에 이 설화와 노래가 실려 있는 까닭이다.

King Hyoso of Shilla, whose reign is the chronological background of the song ‘Mojukjirangka,’ succeeded the throne when he was 16 years old and died when he was 26 as the record of Samkukyusa ‘Daesan Oman Jinsin’ tells. The theory that he succeeded the throne when he was 6 years old and died when he was 16 is an error made based on the wrong assumption that ‘wonja[legal first prince]’ and ‘wangja[prince]’ in Samkuksaki refer to an identical individual. ‘Wonja,’ who was born in 687 A.D. is not ‘wangja’ I-hong who was created the crown prince. ‘Wangja’ I-hong was born in 677 A.D. to the crown prince Jungmyung and Kim Heum-un’s daughter as their first son. ‘Wonja’ who was born in 687 A.D. is the fourth son of King Shinmun, born after he succeeded the throne. Kim Heum-un(欽運), the father of Queen Shinmok, and Kim Heum-un(歆運) in Samkuksaki ‘Yeoljeon’ refer to the same individual. He was a son-in-law of King Thaejongmuyeol, and died a glorious death during a battle against Baekje in 655 A.D. He left an infant daughter, who married King Shinmun in 683 A.D. when she was over 28 years old. They had three sons[Prince I-hong, Prince Botto, Prince Hyo-myeong] before their public marriage. With the King Shinmun’s succession to the throne on 681 A.D., there broke out the well-known historical event, Kim Heum-tol(金欽突)’s rebellion. The existence of these three princes born from Kim Heum-un’s daughter was the cause of the rebellion of Kim Heum-tol, whose daughter was the legal Queen of King Shinmun. The royal family might have made the decision that an already existing prince should succeed the throne, and Kim Heum-tol, who worried about his daughter’s future, might have protested to this decision. The royal family accused him of the rebellion and deposed the legal queen who was his daughter. Because of this rebellion a certain group of nobles from Hwarangto was killed or expelled. This caused the noble society of Shilla to split, and seriously affected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Because of this event, the noble Jukjirang might have lost his political power and di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oso, after living in obscurity for about 15 years in such a harsh political situation. Mojukjirangka was written by Deuk-o, who had been very intimate with the noble Jukjirang in Hwarangto, in order to be used on the day of the funeral ceremony of Jukjirang, or on the day of Sosang, which is a mourning ceremony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death. This is the reason why this song and its story are recorded in Samkukyusa ‘Kiiphyeon’.

Ⅰ. 서론

Ⅱ. 모죽지랑가와 배경 설화

Ⅲ. 신문왕의 즉위와 혼인

Ⅳ. 『삼국사기』 : 효소왕 6살(?) 즉위 16살(?) 승하

Ⅴ. 『삼국유사』 : 효소왕 16살 즉위, 26살 승하

Ⅵ. 元子와 王子

Ⅶ. 효소왕 : 원자 아닌 왕자

Ⅷ. 오대산 사적에 대한 검토

Ⅸ. 경영의 모반과 효소왕의 외할머니

Ⅹ.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