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浦項中城里新羅碑에 보이는 ‘喙部’와 6部의 性格

A Study on Characters of Heobu(喙部) and Six Bu(六部) in View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浦項中城里新羅碑)

DOI : 10.35160/sjekh.2014.04.16.59
  • 19

신라 최고의 금석문인 포항 중성리신라비가 발견된 이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비문의 판독부터 그 해석 및 이와 연관된 내용을 검토하여 신라사 연구에 새로운 이해에 도움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지만 비문에 보이는 내용 가운데 끊어 읽기가 애매하거나 부명으로 추정되는 喙에 대한 다양한 표기가 문제로 대두됨으로써 비문의 해석에 올바른 실마리를 찾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중성비에 두 번 등장하는 ‘喙部’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바, 먼저 ‘部’의 관칭이 6부의 지배세력화과정을 보여주는 단초로서의 역할과 행정구획화의 시작을 알려주는 내용이 담겨져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증왕의 즉위과정도 다시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喙部’의 의미를 다른 부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6부 이해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는 냉수비와 봉평비에 보이는 부명과 관등 및 관직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역으로 중성비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하였다. 그 결과 ‘喙部’의 사용은 지증왕이 왕위에 등극하였지만 기존 소지왕대의 정치세력이 그 부명을 관칭하면서 이 비문에 그대로 기재된 반면, 沙喙라 하여 부명을 관칭하지 않은 세력은 지증왕의 즉위 후에도 아직 그 주도권이 ‘喙部’에 남아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는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지향하는 왕권의 소산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喙部’의 부 관칭 양상은 그 자체 6부의 지배세력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기존 6부세력의 행정구획화를 시도하는 과정의 반영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제 아래 이후 보이는 喙와 沙喙 그리고 本波 등의 부를 관칭하지 않은 부명은 지절로갈문왕의 주도 하에 진행되는 교의 주체, 집행자, 본모자, 쟁인, 판결의 집행자, 비문의 작성자, 비문 각자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6부의 명칭과 유사하게 인식한 몇몇 喙를 어미로 하는 6부 관련 내용은 비문이 작성될 당시의 정황으로 볼 때 결코 가능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냉수비와 봉평비에 보이는 6부의 질서체계와 율령의 반포를 통한 관등, 관직체계의 정연한 과정이 중성비를 통해 비로소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The thesis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on characters of Heobu(喙部) and Six Bu(六部) in view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浦項 中城里新羅碑, 501). This stone monument is the oldest in Silla Dynasty and includes various contents in Silla history, especially 5~6 century political and social matters. This article noticed meaning of the Heobu(喙部) in view of stone monument, I suggest that use of this Bu(部) shows differentiation process, administrative district process and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of Jijeung (智證王). Ever found Stone Monument, Nangsubi(冷水碑, 503) showed contents of have no Bu and Bongpyungbi(鳳坪碑, 524) contents contained Bu. Moreover this stone monument confirmed name of several Six Bu(六部), for example Heo(喙), Saheo(沙喙), Bonpa(本波) and Modanabulheo(牟旦伐喙), Bonpaheo(本波喙) etc.. But I think that Modanabulheo(牟旦伐喙), Bonpaheo(本波喙) etc. are not contained Six Bu(六部). Because Bu of this stone monument cross correlated Bu in view of contents of Nangsubi and Bongpyungbi. Next, Characters of Six Bu(六部) are the relation between Segment political unit(單位政治體) and Administrative district(行政區劃化) process, in special this times estimated Administrative district process advanced. This stone monument confirmed such reality, Silla social changes, further more operation of Official Rank, Official Post, Golpum System on promulgation uniform code of law in Silla Dynasty.

Ⅰ. 머리말

Ⅱ. 중성비에 보이는 `喙部`의 의미

Ⅲ. 중성비에 보이는 6부의 성격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