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祖堂集』의 增補에 관한 논란의 부정적 視覺

Controversial Negative Perspective into the Enlargement of 『Jodang Collection』: With focus on Internal Criticism over Dongkukseonsajang

DOI : 10.35160/sjekh.2014.04.16.119

오대시대 南唐 保大 10년(952) 천주 招慶院의 靜·筠 두 선사에 의해 편찬된 『祖堂集』이 오래가지 못하고, 중국에서 失傳되었다. 다행히 고려 고종 32년(1245) 새롭게 開板되어 해인사 대장경판 속에 寶藏되어 왔다. 이를 고려판 『조당집』이라고 부른다. 남당은 16국 가운데 가장 강성했던 국가로 그 영역은 강서와 민후(복주)가 중심 세력의 범위가 되었다. 초경원의 창건 시대인 송나라 이전, 22都란 지역, 新羅寺, 新羅村이 바닷길과 연결되는 데서 일치한다. 천주는 신라·고려가 붙은 지명이 西安 다음으로 많다. 『조당집』(20권)을 살펴보면 전면에 淨修 선사 文僜 述의 序가 있고, 그 다음에 釋匡㑺이 지은 『海東新開印版記』를 달았다. 여기서 확실한 것은 편찬자가 靜·筠 두 선사이고, 개판자는 석광준이다. 그러나 근거한 <1卷本><10卷本> 『古祖堂』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 아래서 동국선사전이 검증 없이 맹목적으로 증보되었다고 단정하는 것은 올바른 지적이 아니다. 본래 개판이 抄刻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錯字, 別字, 脫字, 漏字가 적지 않게 발견되어 1993년 중국에서는 일본·대만보다 약간 늦게 影印出版하였다. 이의 서문을 보면 ‘천년의 秘籍이 다시 도로 神州(중국)에 전하기를 기약하였다’고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全國圖書館文獻縮微復制中心, 『祖堂集』, 新華書店北京發行所, 1993, 前言 참조. 위 『海東新開印版記』를 살펴보면 다음이 지적될 수 있다. ① 『조당집』이 고려에서 새롭게 개판된 것. ② 편찬자 중 筠 선사가 해동구법승으로 보인다는 것. ③ 필자가 위 ①②의 인연에 하나를 더 보태기 위해 16년간 16차례 답사 끝에 李玉昆(泉州海外交通史博物館 硏究員), 樓正豪(復旦大學 博士生)군과 필자 3사람이 한 조가 되어 청원산 풍경구 관리처 高澤章, 천주해외교통사박물관 薛彦喬 선생의 안내로 초경원 절터를 비로소 北山에서 찾아냈다. 큰 수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梅岩 근처가 가파른 경사 때문에 이곳에 초경원→별장(別墅)→重建招慶院이 들어설 자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어렵게 찾아낸 표지인 梅岩 아래로 추정하였다. 그 이유는 北山의 36岩洞의 배치를 보면 동서가 뒤죽박죽한 위치인데 반하여 北南의 위·아래쪽 岩洞의 위치가 정확하게 내려오기 때문이다. 勢至岩에서 九日岩까지는 약 400m이다. 위 ①~③은 『조당집』과 해동국이 만난 동반의 큰 인연으로, ‘3박자의 인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조사보고는 다음에 발표할 예정이다. 3박자의 기쁨도 잠시일 뿐, 『조당집』에 흥미를 가지고 깊숙이 들어갈수록 곧 부닥치는 문제가 다름 아니고, 고려에서 개판 때 ‘동국선사 10人傳’이 증보됐다는 주장이다. 일본의 오야 도구죠(大屋德城)가 최초로 제기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증보 문제는 일본·중국·대만·홍콩에서 팽배하게 퍼져있음을 보고, 부정의 반론을 펼친 것이 이 논문이다. 선행연구에서 볼 때 『조당집』의 증보에 관한 부정은 아직도 나오지 않았다. 부정에 무게를 실어줄 정교한 논리의 개발·생산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靜·筠 두 선사가 편찬한 『조당집』(권20)은 동반의 이상적인 合心에서 거둔 성과뿐만 아니라 중국선의 동류가 마침내 동국선사의 어록이 최초로 중국의 초기 선종사서에 접속된 데 의미를 둘 것이다. 『조당집』 편성은 위의 ‘동류’와 ‘어록’을 함께 기본의 두 축으로 구성하여 동반관계를 결속시켰기 때문에 중화주의 사관의 극복을 위한 試論⑤로 묶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In the 10th year (952) of South Tang Bodae during the period of Ohdae(5-Generation Era), 『Jodang Collection(祖堂集)』 which was compiled byThe two great Buddhist monks Jeong(靜) and Kyun(筠) at Chokyeongwon(招慶院) in Cheonju, didn’t last long, being buried into oblivion in China. Fortunately, during the 32nd ruling year(1245) of King Gojong of the Goryeo Dynasty, its woodblock was renewed to be preserved in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 of Haeinsa Temple. It’s called Goryeo Edition 『Jodang Collection』. Namdang was the most prosperous nation among 16 nation, and it extended the territory around Gangseo and Minhu(Fuzhou) Looking into 『Jodang Collection』(20 Vol.) , it consists of Jeongsu Buddhist monk MundeungSul’s preface on the front side and contained 『Haedongshingaeinpanki』 written by Buddhist monk Seok, Kwang-jun. Here, what is clear is that the compilers of 『Jodang Collection』 were the two Buddhist monk Jeong and Kyun, and the person who renewed its woodblock was monk Seok, Kwang-jun(釋匡㑺). However, it’s not proper to conclude that Dongkukseonsajang was implicitly enlarged without any verif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no trace of < Vol. 1- print><Vol. 10-print>『Gojodang』, on which Dongkukseonsajang was based, remains. Initially, some part of themodified woodblock were selected, so not a few wrongly –chosen letters and omitted letters are discovered; actually, it was in 993 that China did photoprint, a little later than Japan or Taiwan. The preface of 『Jodang Collection』 gives significance, saying “A thousand-year-old rare book promises to be handed down to China again.”)Looking into the above mentioned 『Haedongshingaeinpanki(海東新開印版記)』, it’s possible to confirm the facts as below. ① The fact that 『Jodang Collection』 was newly printed through modified woodblock② The great Buddhist monk ‘Kyun’among the compilers seems to be a Buddhist pilgrim pursuing Buddhist lessons(Haedonggubeopseung). ③ In an effort to add up one more relation to the above①and ②, this writer has made 15 rounds of a field survey for 15 years, finally managing to discover the temple site at Chokyeongwon at Bukchon by forming a team of the three persons including Lee, Ok-gon( Researcher if Cheonju Overseas Traffic History Museum), Rhu, Jeong-ho(Taking a doctoral course at Bokdan University ) and this writer. It cannot but be really a great fruit. The writer thinks that the above ①~③ are a big accompanied relation, in which 『Jodang Collection』 and Haedongkuk met with each other, which can be called ““3-Beat Relations(Nidana).””This writer is going to make a survey report later. The joy of 3-beat is just momentary, but the more one goes deep into 『Jodang Collection』 with interest, one comes to encounter with a problem which is no other than the argument that ““Dongkukseonsa 10-person biography’was enlarged at a time of modifying the woodprint in Goryeo. This paper developed its negative argument after realizing that the problem of an enlargement has prevailed in Japan, China, Taiwan and Hong Kong since OhyaDokujo in Japan first raised the problem. Looking into the preceding research, the negation of the enlargement of 『Jodang Collection』 has not been put forth yet. This writer thinks that it’s time for us to put in all our energies into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logic that can give weight to the negation. In addition, the 『Jodang Collection』(Vol. 20) compiled by the two great Buddhist monks, Jeong and Kyunis not only a great achievement created by an ideal unison but the quotations of Dongkukseonsa was also finally included first in Chinese Seonjong History Book by Dong-ryu(East Stream) of China Zen. Compilation of 『Jodang Collection』 bound the companion relationship by composing the above mentioned ‘Dongryu(中國禪 之東流)’ as basic two axes, so this paper put its aim at considering b

Ⅰ. 머리말

Ⅱ. 『古祖堂』과 『祖堂集』

Ⅲ. 『祖堂集』의 이른바 ‘東國禪師10人傳’의 內容分析①

Ⅳ. 筠禪師가 채택한 다양한 어휘의 用文表現―內容分析②

Ⅴ. 東國禪師傳에 보이는 口語·泉州方俗語―內容分析③

Ⅵ. 『祖堂集』의 世界

Ⅶ. 東國禪師語錄의 中國禪에로의 接續

Ⅷ.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