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중대 國學의 설치와 운용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ukhak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dynasty

DOI : 10.35160/sjekh.2014.08.17.37
  • 11

국학은 신라의 최고 교육기관으로서 유교 경전과 사상을 교육하여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료의 양성을 담당했던 국가기관이다. 신라에 있어 교육과 정치의 두 측면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국가체제 정비와 발전에 공헌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지금까지 진행된 국학의 연구는 설립시기와 교육생에 대하여 주로 관심이 집중되었고, 최근에 인재선발이나 교육과정 등으로 시야가 확대되어 질적 측면에서 연구가 진전되었다. 본고에서는 국학의 성립과정으로서 수용에 중점을 두고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신라 사회에 안착할 수 있었는지 살폈으며,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김춘추는 비담의 난을 전후로 한 시기에 계속되던 대내외적 위기를 극복하고자 대당외교를 전개하였다. 당의 대외적 팽창욕구와 신라의 위기탈출 전략은 나당동맹으로 이어졌다. 외형적인 신라의 적극적 접근에 대한 당의 내면적인 적극적 호응이었다. 김춘추의 외교력을 통해 유교질서의 광범위한 수용이 전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대당사행을 통해 唐制의 효율성을 확인한 김춘추는 개혁에 착수하였다. 의관제를 정비하고 아홀 규정도 강화하였고, 하정례를 시행하여 군신간 위계질서를 명확히 하였다. 좌이방부를 설치한 후, 율령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관료질서와 밀접한 국학을 설치되었다. 국학의 설치는 공적인 교육기구의 창설로서 유교 교육의 체계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삼국통일 이후 신문왕은 통치질서의 개편을 시도하였다. 위화부령 2인을 설치하고, 관료양성을 담당하던 국학 역시 정비하였다. 교육과정과 운영은 당의 국자감을 토대로 했는데, 당제를 참고하면서도 주체적인 제도운용을 하였다. 국학 기능의 정립 후 관료질서가 보다 강화하였다. 관료전 지급은 관료화 한 진골귀족의 모습을 반영한 조치로 신라중대 율령체제의 확립을 상징했다. 결론적으로 국학은 김춘추의 대당사행 과정 속에서 시작된 당제 도입의 일부였으며, 설치와 운용에 있어 신라적 현실에 맞추어 변화가 있었고, 제도운영의 결과 신라중대의 관료질서 형성과 율령체제의 확립에 이바지했으며, 관료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Gukhak(國學), a state institution of higher of the Silla kingdom, took charge of training would-be government officials with Confucian classics and thoughts. It has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kingdom’s governance system in the two important aspects of education and politics. Studies about Gukhak until now have mostly concentrated on its foundation years and on its students and recently have expanded on their coverage of its selection system and curriculums. Studies have so far focused on the fact Gukhak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Silla’s hierarchy and bureaucratic system and taken little notice of its acceptance process. Now, it would be reasonable to examine first backgrounds of its acceptance for the sake of deep understanding about its role proper. Accordingly, this study put emphasis on the acceptance itself and examined how it could be rooted firmly in the Silla dynasty. First, Kim chun-chu made diplomatic efforts toward Tang(唐) China to deal with the crises which had been constant around Bidam(毗曇)’s revolt. The two states formed an alliance for respective purposes, foreign expansion policy for the Tang dynasty and crises exit strategy for the Silla kingdom. That was consequently Tang’s internal active response to Silla’s external active approach. Kim chun-chu(金春秋)’s diplomatic efforts brought an extensive acceptance of Confucian systems. Second, Kim chun-chu considered the efficiency of Tang systems during his visit there and initiated reforms back at home. He prepared the Chinese clothes system, considered Ahol(牙笏) regulations, and solidified the hierarchy between the sovereign and subjects by holding the meeting of Hajeongrye(賀正禮). After Jwaibangbu(左理方府) had been installed, Gukhak was founded to strengthen the statute(律令) system because it was believed to be develop the system of Confucianism education. Third, king sinmun(神文王) attempted to recognize the ruling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He placed two officials in Wihwabu(位和府) and reformed Gukhak responsible for training government officials. Its curriculums and regulations were basically borrowed as well. The systemized Gukhak build up the state bureaucracy. Gwanryojeon(官僚田) reflects the firm status of the Jingol(眞骨) class and represents the established statute system in the middle perid of Silla dynasty. In conclusion, Gukhak was at first part of imported Tang systems by Kim chun-chu during his diplomatic visit to the Tang dynasty, then was reformed in its status management according to realities of the Silla society. It played a crucial role during the middle Silla period in the formation of the bureaucracy, the codification of statute, and bureaucratic policies for the noble classes.

Ⅰ. 머리말

Ⅱ. 김춘추의 대당사행과 국학·석전의 참관

Ⅲ. 진덕왕대 율령질서의 정비와 국학의 설치

Ⅳ. 신문왕대 율령체제의 확립과 국학의 완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