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가야 고총체계와 왕묘

A Study on High Mound Tomb System and Royal Tombs of Daegaya

DOI : 10.35160/sjekh.2014.12.18.7

고령과 그 인근 합천의 일부지역에 분포하는 대가야 고총은 고령 쾌빈리 목곽묘에서 발전하여 성립된 것으로 5세기 초 지산동 73호분에서 시작되었다. 세장방형의 수혈식석곽을 기조로 한 대가야 고총은 지산동 73호분과 75호분의 과도기를 거쳐 5세기 전반 지산동 30호분과 35호분 단계에서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고, 5세기 후반 이후 44호분과 45호분과 같은 복잡한 초대형 묘로 발전한다. 대가야 고총은 묘곽의 배치에서 특이한 모습을 보이는데, 주부곽과 순장곽의 수나 그 배치 형태에 따라 5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주곽의 구조도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가장 복잡한 것의 경우 석곽의 내부에 目자형의 목곽을 설치하고 그 중간 칸에 피장자를 배치하여 다른 지역, 특히 신라의 고총과는 구별된다. 대가야 고총이 정형화된 모습을 갖춘 뒤 5세기 후반에는 대가야 권역의 각지로 확산되어 대가야의 고총체계가 성립된다. 이때 대가야식 고총이 축조된 지방으로는 합천 옥전, 거창 말흘리, 함양 백천리, 남원 월산리와 두락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신라의 고총체계와 비교하면 늦어도 5세기 말 혹은 6세기 초에 대가야가 지역 수준을 넘어 광역의 영역을 가진 정치체인 초기국가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해 주는 것이 주산성의 남쪽 능선에 열을 지어 분포하는 대가야의 왕묘이다. 그것의 배치 양상은 당시 동아시아 제국의 왕묘 배치와 비견되는 것으로 대가야의 국제성을 드러내 준다. 그러나 대가야는 신라와 같이 율령을 가진 고대국가로는 발전하지 못하고 신라에 복속되어 지산동에서 고총의 축조는 막을 내린다.

The high mound tombs of Daegaya(대가야), located in some areas of Goryeong(고령) and near Hapcheon(합천)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Goryeong Koebinri(쾌빈리) wooden outer coffin tomb. The first high mound tomb, Jisandong(지산동) No.73 was built in the early fifth century. This high mound tomb in the early phase exhibited rectangle and consisted of vertical digging wooden outer coffin with stone. After passing the intermediate stage, Jisandong No.73 and No.75, the typical style of Daegaya high mound tomb(stone outer coffin tomb), as exemplified by Jisandong No.30 and No.35, had been established during the first half of fifth century. The typical style had been developed to a more complex and far larger form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fifth century, as seen by mega-sized but sophisticated No.44 and No.45. The high mound tombs of Daegaya have a peculiar arrangement of wooden outer coffin, and the arrangement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main·subordinate stone outer coffin and sacrificial stone outer coffin or their configuration. The structure of main outer coffin is further grouped into three types. The most complex type of them are distinguished from high mound tombs located in other areas, in the way that they have 目-shaped wooden outer coffin inside stone outer coffin and buried a main person(or coffin) in the middle space of wooden outer coffin. In the late fifth century after the typical style being established, high mound tombs expanded their sites over the wider area of Daegaya such as Hapcheon Okjeon(옥전), Keochang(거창) Malhelli(말흘리), Hamyang(함양) Baekcheonri(백천리), and Namwon(남원) Wolsanri(월산리) and Durakri(두락리), and thus it is deemed that the system of Daegaya high mound tomb had been established around that time. The comparison with the system of Silla(신라) high mound tomb suggests that, no later than the late fifth century or the early sixth century, Daegaya reached at the phase of the early state, which is marked by a political system with a considerably large territory. This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royal tombs of Daegaya that was arranged along the southern ridge line of Jusan(주산) castle. Its arrangement can rank with that of East Asia empires back then. This hints at Daegaya's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other nations. Daegaya, however, could not be developed sufficiently enough to become a legitimate ancient nation with a statute like Silla. Eventually Daegaya was incorporated into Silla, and accordingly, was forced to end its constructing of high mound tombs.

Ⅰ. 머리말

Ⅱ. 대가야 고총의 출현

Ⅲ. 신라와 비교한 대가야 고총과 고총체계

Ⅳ. 대가야 왕묘의 배치와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