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진남북조 시기 벽화에서 동위·북제 벽화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동위·북제 벽화는 업성지역, 병주지역과 산동성·하북성 중북부에 분포하는데 병주지역 벽화의 특징은 중앙아시아 색채가 짙다는 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병주지역의 고분벽화로 범위를 좁혀서 이 지역만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서 이 지역 벽화가 고구려벽화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병주 근교의 주요한 고분벽화로 수양현 고적회락, 태원지역의 루예, 제1열전창, 서현수 고분벽화와 삭주의 수천량 고분벽화가 있다. 이들 고분벽화 내용의 특징은 무덤칸 북벽에 장막 안에 앉은 무덤주인 부부상, 무덤칸 동벽과 서벽에는 각각 안장 얹은 말과 소수레가 묘사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병주지역 벽화가 이러한 형식을 따르고 있어 이 당시의 정형화된 틀처럼 보인다. 북제시기에 선비와 중앙아시아 문화가 크게 유행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병주지역 벽화에도 반영되어 있는데 특히 병주지역 서현수 고분벽화에 집중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중앙아시아의 영향은 소그드인들의 이주를 통해 병주에 전해졌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병주지역의 중앙아시아 문화는 다시 그로부터 그다지 멀지 않은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미쳤을 것이다. 병주지역 고분벽화에 보이는 내용 가운데 그것과 대응되는 내용을 고구려 벽화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초와 팔메트 무늬, 중앙아시아 악기와 명암법 소체 화법 등이 이것이다. 북제시기 조야에 중앙아시아 문화가 狂的으로 유행하는 분위기, 병주지역의 강한 중앙아시아 문화의 영향, 병주와 고구려 사이의 지리적 인접성으로 봐서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관련은 물론 직접 교류한 면도 있을 것이나 이 시기 북제, 특히 병주로부터의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Eastern Wei·Northern Qi tomb murals have an important place in the tomb murals of the Wei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Eastern Wei·Northern Qi tomb murals are distributed in the Yecheng. Bingzhou and Shandong·upper middle part of Hebei province areas and a characteristic of Bingzhou area tomb murals is that they show a strong Central Asian influence. This paper examines the tomb murals of the Bingzhou area and its characteristics. Afterwards the influence of Bingzhou tomb murals on Goguryeo tomb murals is examined. The main tomb murals of the Bingzhou area are the Kudihuilo tomb of Shouyang prefecture and the Lourui, Diyiredianchang, Xuxianxiu tombs of Taiyuan and the Shuiqianliang tomb of Shuozhou. On the north wall of the burial chambers of these tombs, the tomb occupant couple sitting within a tent is depicted and on the east and west walls a saddled horse and ox-carriage is depicted. Most Bingzhou tomb murals found until the present time seem to follow this framework. During the Northern Qi period Xianbi and Central Asian culture was popular. This kind of atmosphere is reflected in the tomb murals of the Bingzhou area especially in the tomb murals of the Xuxianxiu tomb. This kind of Central Asian influence was probably brought to Bingzhou through the movements of the Sogdians. Furthermore, the Central Asian influence of the Bingzhou area probably reached the tomb murals of Goguryeo, which was not far from the Bingzhou area. Of the contents of the tomb murals of the Bingzhou area, corresponding contents can be found in the tomb murals of Goguryeo. Examples would be arabesque and palmette patterns, Central Asian musical instruments, Suti(疏体) and shading painting techniques. In consideration of the wild enthusiasm for Central Asian culture during the Northern Qi period, strong Central Asian influence seen in the Bingzhou region and geographical proximity between Bingzhou and Goguryeo, Central Asian influence seen in Goguryeo could be a result of direct exchange between Goguryeo and Central Asia but the Central Asian influence emanating from Bingzhou during the Northern Qi period must not be overlooked.
Ⅰ. 머리말
Ⅱ. 동위·북제 고분벽화의 분포와 병주지역 고분벽화의 특징
Ⅲ. 병주 지역과 중앙아시아와의 교류
Ⅳ. 병주 고분 벽화와 고구려 고분 벽화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