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의 태학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aehak(太學) in Baekje

DOI : 10.35160/sjekh.2015.04.19.157
  • 23

본 논문은 <陳法子墓誌>에 나타난 太學正이라는 명칭을 중심으로, 백제의 官學 기구인 太學과 그 學官인 博士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백제 관학의 설치 시점과 그 전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 연구이다. 「陳法子墓誌銘」에서 확인된 ‘태학’과 ‘태학정’은 각각 백제의 중앙 교육기구와 그 수장의 명칭이다. 이 중 태학은 內法佐平 휘하의 屬司로서 적어도 ‘박사’라는 명칭이 『삼국사기』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근초고왕대부터는 운영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태학에 속한 박사는 관료 예비군 및 太子에 대한 교육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한편, 문한적 기반을 중심으로 사서의 편찬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태학의 설치는 백제 사회 내에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일군의 관료 집단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의 모습이 阿直岐나 莫古解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같은 시기 박사로 등장하는 高興이나 王仁 등은 박사, 혹은 박사를 역임했던 인물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시기의 박사는 주로 한인계나 한군현계 인물들이 주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 백제의 태학 및 박사제도는 발전을 거듭하게 되어, 무령왕대에는 개별 경전에 대한 높은 지식과 교육적 기능을 갖는 五經博士가 등장하게 된다. 아울러 陸詡와 같이 새로운 禮學 경향에 능한 박사를 梁으로부터 직접 초빙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한편, 이 시기에는 경전이나 예학 등의 학문 영역 이외의 기술직 관료군에도 박사제도가 운영되었으며, 이들도 오경박사 등과 함께 일본에 정례적으로 파견되었다. 태학과 박사 제도의 또 다른 변화는 사비천도 이후 성왕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 중앙 관부의 개편에 맞물려 태학은 司徒部의 속사로 편성되었으며, 이의 총괄, 행정 업무를 전담하는 태학정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진법자묘지>에 등장하는 위덕왕대의 太學正은 사비기 초반 성왕대 정치개혁의 산물로서 설치된 것이며, 이는 관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정비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제의 태학정은 중국제도의 博士祭酒·國子祭酒와는 다른 백제만의 독자적인 제도로 시행된 것이다. 아울러 이 시기에는 오랜 제도의 운영을 통해 종래의 漢人系 뿐 아니라 백제의 귀족층에서도 문한적 능력이 뛰어난 인물들이 등장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사비기 백제의 발전된 문화상을 보여주는 중국 정사의 기록, 백제 귀족 사회의 뛰어난 한문학적 수준을 전하는 <砂宅智積碑> 등의 유물에서도 확인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existing studies on Baekje's Educational System, named Taehak(太學) and officials who took charge of education, doctors(博士) through the Memorial Inscription of Jinbeopja(陳法子墓誌) to explore the installation time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ducational system of Baekje. “Taehak“ and “Taehakjeong(太學正)“, raised by the Memorial Inscription of “Jinbeopja“ represent the central educational organization of Baekje and its officials. Taehak is seen to have been a sub-government office, which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Naebeopjwapyeong(內法佐平, Judicial organization in Baekje)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近肖古王), when title “doctor“ appeared first, according to Samguk Sagi(The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During this time, doctors who were subject to Taehak charged the compilation of classics based on literary arts while performing the duties of teaching preliminary officials and crown prince. The installation of the Taehak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official groups, equipped with Confucian qualifications in the society of Baekje, which was shown in the records of Ah Jik Gi(阿直岐) and Mark Go Hae(莫古解). In addition, Go Heung(高興) and Wangin(王仁) were the figures who served as doctors in the relevant period.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Chinese figures were mainly central part of doctors during this period. Since then, through the exchange with the Southern Dynasty(南朝), China, Taehak System and Baekje Doctor System repeated development,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武寧王), Doctors of Five Books of Confucianism(五經博士) appeared to educate officials based on high knowledge about each sacred book.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doctors who were adept at the study of rite(禮學) trend, including Lu Hsu(陸詡), were invited from the Liang Dynasty(梁) Meanwhile, at those days, doctor system in technical officials were operated, aside from academic realm such as Confucianism or the study of rite. Along with doctors and Doctors of Five Books of Confucianism, the dispatch of doctors to Japan was regularly done in non-academic area. It is judged that another change in Taehak and doctor system wa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聖王). During this period, Taehak was organized as sub-government office which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Sadobu(司徒部, Judicial and Foreign Affairs organization in Baekje) in connection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In addition, it is seen that Taehakjeong took charge of general affairs and administrative duty. Meanwhile, Taehakjeong in Baekje was the high-ranking position, the 3d rank officails(三品官) unlike the principal of the imperial university(國子祭酒) in the Chinese system. Therefore, Taehak in Baekje became effective as the separate system from the Chinese system.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figures who were distinguished in academic ability appeared in the aristocratic class in Baekje, apart from Chinese figures through the long operation of the system at this time. In particular, we can confirm this fact in the relics of Baekje such as the stone monument of Sataegjijeog(砂宅智積碑), which deliver the outstanding Chinese literature level of the Baekje aristocratic society and the official record of Chinese history, revealing the developed culture of Baekje at the late Sabi(泗沘) period.

Ⅰ. 백제의 官學에 대한 그간의 논의

Ⅱ. 博士와 太學의 설치

Ⅲ. 백제 官學의 발전

Ⅳ. 太學正과 사비시대의 태학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