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羅末麗初 熾盛光如來 信仰과 圖像의 傳來

A study of the introduction of tejaprabha Buddha faith and iconography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Late Silla and Early Goryeo Dynasties: revolve around 『Goryeosa』

DOI : 10.35160/sjekh.2015.08.20.185

치성광여래 신앙은 북극성을 부처로 나타낸 치성광여래와 더불어 밤하늘의 별에게 소재구복하는 신앙으로 8세기 말 9세기 초 중국에서 인도 점성신앙인 구요신앙의 영향으로 생성된 불교의 새로운 북극성 신앙이다. 이 신앙은 당대를 거쳐 송‧원‧명‧청대로 그 전통이 계승되었고 국경을 넘어 한반도와 일본까지 전래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치성광여래는 칠성도라고 알려진 불화의 주존으로 모셔진다. 한반도로 전래된 치성광여래 신앙과 도상은 『고려사』 작제건 기사에 나타난 늙은 여우로 둔갑한 치성광여래와 동주 발삽사 치성광여래와 전선소상 기사에서 그 흔적을 살펴 볼 수 있다. 치성광여래 신앙은 9세기 전반 중국에서 본명성 소재신앙으로 대중의 호응을 얻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서해해상에서 활약하였던 장보고의 활약상과 중국과 한반도 간의 활발한 교류 등 시대적 정황을 염두에 두면 신앙의 전래 시기는 9세기 전반에서 중반을 넘지 않을 것이다. 신앙의 전래자로는 중국과 한반도를 오고 갔던 승려, 사신, 상인들이 추정되며 특히 『고려사』에 등장하는 작제건과 왕창건과 같은 해상에서 활동한 세력의 역할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기사에 묘사된 ‘하늘에서 내려오는 치성광여래와 성신’, ‘치성광여래 앞에 서있는 전성’의 내용은 강림형식과 설법회 형식의 치성광여래 도상이 전래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전래 초기 치성광여래 신앙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하였지만 시대에 따라 변천하면서 한반도에서 영성로 모시던 북두칠성, 삼태성, 남두육성 등을 신앙의 대상으로 포함하는 토착화 과정을 통해 정착되어갔다. 전통 민간신앙이 불교에 습합되면 종속적인 형태로 변모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반해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흡수된 북두칠성은 신앙의 중심을 바꿔 치성광여래 의식에서 북두칠성에게 의례를 드리고 <북두칠성공양문>을 읽는 것으로 신앙의 형태를 변모시켰다. 이는 한민족 성수신앙에서 북두칠성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실감케 하는 부분으로 치성광여래도를 칠성도라 부르고 치성광여래를 모신 전각의 명칭까지 칠성각이라 하는 것도 같은 원인으로 고찰된다. 나말여초에 전래되어진 치성광여래신앙에 의해 우리민족의 영성들은 부처의 권속이 됨으로써 인간의 재난을 구제해 주는 불교의 호법신중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다라니를 염송하며 재앙을 소멸하고 복을 구하는 구체적인 신앙 방법은 도교의 성수신앙과 구별되는 불교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앙을 통해 현실적인 어려움을 예방 극복하려는 일반인들의 성취가 불법 속에서 구체화 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치성광여래 신앙과 도상 역시 중국과 일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밤하늘의 영성들이 총망라된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특징이 확연한 것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The records of jak-jae-geon and the article about Balsabsa Saturm figure in clay that were transmitted in『Goryeosa』are important clues to search the fact that Chinese tejaprabha Buddha faith was handed down to the Korean Peninsula. These articles that introduce tejaprabha Buddha faith are important data to explore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faith and the process thereof, which fact is prov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ejaprabha Buddha faith, iconography that corresponds to the circumstance of the articles. Tejaprabha Buddha faith, a new polestar faith of Chinese Buddhism, that was created during the late 8th century to the early 9th century in China succeeded the tradition via Tang Dynasty, up to Song Dynasty‧Yuan Dynasty‧Ming dynasty‧Qing Dynasty, which was handed down also to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across the border. Tejaprabha Buddha faith, handed down to the Korean Peninsula, can be found with its trace in jak-jae-geon recorded in『Goryeosa』, Jinseong of Balsabsa, and in Jinseongsosang that was said to be in front of disappearing tejaprabha Buddha that changed an old fox and Balsabsa Saturm figure in clay. Tejaprabha Buddha faith was attaining response of the public with birth year star faith of remove misfortune in the early 9th century in China. Considering overall period circumstance such as Jang bo go's marine activity, who performed actively in the western sea and activated exchange between China and the Peninsula countries, etc., introduction period of the faith seems not to be over the early to mid 9th century. Buddhist monks, envoys, and merchants who came and went betwee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were estimated as the characters who introduced the faith, particularly, marine activity force as jak-jae-geon and Wang, chang-geon in the articles of『Goryeosa』were understood as the circumstance that the role of Sogdia merchants was not a little in transmitting Guyo faith to China. Also, the contents of 'disappearing tejaprabha Buddha that came down from the heaven and holly star', described in the article', ‘Jeonseong standing in front of Balsabsa Saturm figure in clay' display that The Descent of Tejaprabha Buddha and The Assembly of Tejaprabha buddha were all transmitted in the iconograpy Tejaprabha' Buddha. Early period of introduction, Tejaprabha Buddha faith did not receive fervent response from the public, however it became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secularization of faith including big dipper, Orion’s Belt, Six Stars of the Southern Dipper, etc. that were believed as holy stars in the Korean Peninsula as it was changed along with the time. Comparing with the point that a popular[folk] belief transforms to a subordinate form when it is mixed with Buddhism, however big dipper faith that was melted into Tejaprabha Buddha faith transformed its faith to offering big dipper ceremony and reading <present[make] an offering to big dipper> by changing its center of belief. This part realizes the important meaning of big dipper in Korean race holy star faith, the same cause is considered in calling the painting of Tejaprabha Buddha as painting of big dipper and Jeongak building as building of big dipper. Korean Peninsula holy star became holy retinue of Buddha by Tejaprabha Buddha faith, which transformed to the protection of the Buddha- dharma divine guardian. Particularly, the concrete way of faith to memorize Mantra, wishing to extinguish disaster and save fortune displayed Buddhist characteristic that was distinguished from Taoism, wishes of general people to prevent and overcome difficulty in reality could be materialized in Buddhist doctrine The Buddha-dharma. Korean Tejaprabha Buddha faith and figure in clay, also, transformed to one that has distinct and creativ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including all the holy stars of the night sky that did not appear in China and Japan.

Ⅰ. 머리말

Ⅱ. 『고려사』에 전하는 치성광여래 신앙

Ⅲ. 치성광여래 신앙의 전래 시기와 전래자

Ⅳ. 나말여초 치성광여래 도상과 신앙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