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중대 효성왕대 혜명왕후와 ‘正妃’의 위상

Queen hyemyeong’ status of the First queen of King Hyoseoung in the Shilla Dynasty Middle-Age period

DOI : 10.35160/sjekh.2015.12.21.239
  • 13

중대에는 왕실의 혼인과 왕비의 출궁 관련의 기사가 빈번하게 보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왕실혼인은 왕의 배우자세력, 즉 王妃를 매개로 한 세력의 정치사회적 지위 확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중대의 왕실혼인에 관해서는 왕실과 진골귀족 간의 역관계, 정치세력으로서의 외척이라는 측면만 부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대의 왕실 혼인과 관련하여 왕비의 위상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중대 효성왕대에는 3명의 배우자, 즉 박씨왕비, 김씨왕비인 혜명왕후, 後宮이 기록되었다. 신라왕실에서 왕에게 여러명의 배우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기록은 효성왕대가 처음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갈등 및 세력 다툼까지도 감지된다. 효성왕대의 왕실여성 간의 갈등의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중대 왕후의 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대왕실의 위상강화는 왕실과 혼인관계를 맺은 귀족세력, 즉 왕비세력의 위상 강화로 이어졌다. 王妃의 지위를 기반으로 한 정치세력, ‘왕비세력’의 부상과 사회적 지위 확보로 이어졌던 것이다. 이는 효성왕대에 혜명왕후와 박씨왕비, 혜명왕후와 후궁 간의 ‘당의 신라왕비책봉’을 둘러싼 갈등을 야기하였다. 혜명왕후는 당으로부터 신라왕비로 책봉을 받음으로써 ‘왕후’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효성왕대 왕실 여성 간의 갈등은 단순히 왕의 총애를 둘러싼 왕의 배우자간의 다툼이 아니라 ‘族人’과 ‘宗黨’이 동원된 정치적 세력간의 충돌이었다. 이는 혜명이 王后의 지위를 획득하고, 상대세력은 謀反으로 伏誅되는 것으로 끝이 맺어졌다. 이와 같은 과정은 왕의 배우자로서의 王后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효성왕대에 왕의 배우자 간의 갈등은 왕의 정식 배우자, 즉 ‘正妃’의 지위를 둘러싼 갈등이었다. ‘왕의 정식 배우자 1인’으로서의 正妃의 지위는 성덕왕대 왕후 책봉, 효성왕대 당의 왕비 책봉, 경덕왕대 태후 책봉으로 이어지며 정립되었다. 이와 같은 ‘正妃’의 지위 정립에는 왕과 정치세력, 특히 王妃를 배출한 정치세력인 김순원세력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다. 김순원세력은 성덕왕대에 이어 효성왕대에도 ‘왕비’를 매개로 한 왕비세력으로서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성덕왕 이후의 당제인 후비제에 대한 이해의 심화는 ‘正妃’의 위상 강화로 이어졌고, 이는 곧 왕비세력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하게 하였던 것이다. 김순원세력은 당의 후비제도 수용, 책봉 등 당과의 친연성을 기반으로 왕비세력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였다. 이처럼 신라 중대의 ‘正妃’ 지위의 정립은 중대 왕들의 왕권을 강화하고자 한 의도와 그에 부응하는 정치세력, 특히 왕비세력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중대‘正妃’의 위상은 중대왕실과 왕비세력의 이해관계가 부합한 결과물이었다.

There is a great characteristic point is the story of the marriage of the royal and queen's egress Palace(出宮) frequently. Royal marriage partner forces of the king, that are closely related injuries and ensuring social status and political forces to Queen(王妃) in the Shilla Dynasty Middle-Age period. King hyoseoung has three partners, namely the queen Park, the Queen Kim(Queen hyemyeong), royal spouse(後宮) were recorded. As such records exist simultaneously in the Silla king segveral spouse it is king hyoseong first consideration. Not only it is detected even conflict and power struggle between them. king Hyoseoung one look at the causes and background of the conflict between the royal women, evaluated the great princely phase through him. Royal authority in the shilla dynasty middle-age period has been strengthened, which led to a strengthening phase of the queen’ authority and queen’s forces. Queen Hyemyeong had acquired the status of a ‘First queen(正妃)’ overall rating of Shilla Queen’ investiture(冊封) from the Tang dynasty(唐). Not merely a struggle between the King's spouse over the favor of the Relatives. This was a clash between the forces of political mobilization. It acquired the status of hyemyeong this Wang’hu(王后) and opponents joined forces this end was to be uprising(謀反). This process has resulted in the phase of consolidating Wang’hu(王后) as the spouse of a king. Quarrels between spouses of king Hyoseoung was the conflict over the status of the 'First queen(正妃)’. 'Formal partner’ as the first queen of status was established for the queen leads to King seongdeok and King Hyoseoung of queen’s investiture(冊封). Such formulations status of ‘the first queen’ There can not rule out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forces of gimsunwon(金順元). Gimsunwon(金順元) forces was to strengthen the political position as queen’ forces. The king in the Shilla dynasty middle-age period was to strengthen his authority, the nobility was to consolidate his social status. As a result, the queen’ forces were able to acquire social status mediated by the queen. The status of ‘First queen(正妃)’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Tang dynasty’ system, and to strengthen queen’ forces rights in this parameter was established by the king and nobility forces.

Ⅰ. 머리말

Ⅱ. 唐의 新羅王妃책봉을 둘러싼 갈등

Ⅲ. 혜명왕후와 後宮세력과의 갈등

Ⅳ. ‘正妃’의 위상과 혜명태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