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南北朝時代 北朝 고분 출토 西方係 琉璃器

Western Glasswa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Norther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Regarding the Route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Glassware excavated in Ancient Tombs of Silla

DOI : 10.35160/sjekh.2016.04.22.297
  • 27

주지하다시피 신라 고분에서는 20여점이 넘는 유리용기가 발견되었다. 학계에서는 신라의 유리그릇은 서방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으로 보는 의견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이 그 제작지로 추정되고 있고, 수용 경로는 초원루트가 유력시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 출토된 유리기의 정황으로 보면 신라의 유리그릇의 제작지와 수용지를 달리 고민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남조의 지역이었던 호북성, 강소성에서 출토된 유리의 수입경로는 바닷길이었을 것으로 보는 의견들이 중국학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서방계 유리기의 사용 양상이 가장 복잡한 위진남북조시대 북조의 북연과 북위, 북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의 유통과정을 분석하여 신라의 서방계 유리그릇 수용 경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북조 고분에서 발견된 서방계 유리기가 유통된 통로로는 먼저 해로가 있다. 로마, 남인도, 인도네시아의 말라카 해협을 거쳐 타일랜드, 베트남, 남중국을 잇는 항로는 한대부터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다. 5세기 초반의 북연의 풍소불묘에서 출토된 유리기중 4점이 로만 유리로 추정되는데 이중 압형유리수주를 제외한 3점이 해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대 강소성에 위치한 동진 귀족급 묘에서 로마유리기들이 많이 출토된 상황이 주목된다. 풍소불묘의 이 3점의 로마 유리는 남조를 통해 먼저 유입된 다음 다시 북연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반면 鴨形水柱는 아프가니스탄 베그람(Begram)의 수주와 비교하여 초원루트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북위 太和 7년(483년)에 사망하였고 正光 2년(521년) 평성에 이장된 封魔奴墓의 網目文(Net pattern) 유리배도 초원로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北魏 山西 大同 M107號墓의 커트문 유리완과 北周 寧夏 回族自治區 固原縣 南郊 李賢墓의 고부조의 커트문 유리완은 에프탈인들이 육로를 통해 중국 북조로 유통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북위 대동에서 활동했던 에프탈인들의 활동과 에프탈이 사산조페르시아를 전쟁으로 굴복시켰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새롭게 주목되는 점은 중국에서 에프탈인에 의해 서방계 유리가 제작되는 정황이다. 북위 태화 5년(481년) 효문제의 명으로 세워진 定縣 塔 기단의 石函에서 출토된 佛鉢을 비롯하여 당시 북위 수도인 大同에서 중국 현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리기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중국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를 분석한 결과 신라의 유리기들은 현재 이 20여점의 유리기중 이제까지 살펴본 중국 북조의 것과 비교하여 주목되는 점은 신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들이 중국을 거쳐 유입되지 않는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경로의 문제이다. 필자도 기존의 의견과 같이 망목문장식의 배, 반점문배 등 다수의 신라 로마 유리그릇들이 육상루트로 유입된 것으로 본다. 중간 과정으로 고구려를 경유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육로 이외에도 해로를 통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신라계 유이민의 무덤으로 간주되는 일본 신택천총 126호묘에서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연리문 구슬이 황남대총 남분에서도 출토되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에서 서방계 유리를 자체 제작하기도 한 점을 밝혔다. 황남대총 남분의 감청색 유리완이나 안계리 고분의 감청색 유리완은 신라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As is generally known, more than 20 pieces of glassware were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Silla. The academic circle mostly agrees with an opinion that Silla glassware was produced and imported from the Western region. It is assumed that Syria and Palestine were the places of production, and a Steppe route is considered as a reliable route of acceptance. However, from the situations of the glassware recently excavated in China,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lace of production and the place of acceptance of Silla glassware in different ways. An opinion that the route of export of glass excavated in the Hubei province and Jiangsu province, which were the areas of Southern dynasty was a maritime route is suggested by Chinese scholar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help find the route of acceptance of Western glassware in Silla by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distribution of the Western glassware, of which the aspects of use are the most complicated, excavated in Northern Yan, Northern Wei and Northern Zhou in Norther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s a route of the circulation of the Western glassware found in ancient tombs in the Northern dynasty, first, there is a sea route. The courses from Rome, South India and the Strait of Malacca, Indonesia to Thailand, Vietnam and South China were steadily used from the Han dynasty through to the period of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t is assumed that four pieces of the glassware excavated from the Feng Sufu’s Tomb of Northern Yan in the early 5th century are Roman glass and three of them, excluding duck-shaped glass container were introduced through a sea route. Concerning this, it is noted that there was a situation in which a lot of Roman glassware wa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aristocratic class of Dongjin located in the Jiangsu province in the 4th century. It is suggested that these three pieces of Roman glass in the Feng Sufu’s Tomb might be introduced first through Nanzhao and then circulated in Northern Yan. In contrast, it was noted that duck-shaped water containers were introduced, as compared to the water containers of Begram, Afghanistan, through a steppe route. It was judged that net pattern glass cups in the tomb of Feng Monu, who died in the seventh year of Taihe in Northern Wei(483), which was moved to Pingcheng in the second year of Zhengguang(521), were, also, introduced through a steppe route. It was noted that cut pattern glass bowls of Tomb No. M107, Datong, Shanxi, Northern Wei and high relief cut glass bowls of Lee Xian’s Tomb in Nanjiao District, Guyuan Xian,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in the Northern Zhou were circulated in the Northern dynasty by Hephthalites through an oasis route. This considered Hephthalites’ activities in Datong, Northern Wei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Sassanian Persia was reduced to submission by a war. What is noted newly is a circumstance in which Western glass was produced by Hephthalites in China. A number of glassware was found, which seems to have been produced in China in Datong, the capital of the Northern Wei at the time, including Buddha’s bowl, excavated in stone cases of the Dingzxian Tower Stylobate established by the order of Xiao Wendi in the fifth year of Taihe in Northern Wei(481).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Western glass excavated in China, what is noted with about 20 pieces of glassware of Silla is that Western glassware excavated in Silla was not introduced to Silla through China, as compared to those of China Northern Dynasties discussed above. Next, there is an issue of the route. The author, too, thinks that a number of Silla Roman glassware, such as cups with net pattern and cups with spotted pattern were introduced through a steppe route and a oasis route, like the existing view. It is very likely that they passed through Goguryeo as the middle course.

Ⅰ. 머리말: 춘추전국시대에서 위진남북조시대까지 유리기의 전개

Ⅱ. 남북조시대 북조 고분의 서방계 유리기의 출토 양상과 기형

Ⅲ. 서방계 유리의 계통별로 본 수용경로

Ⅳ. 맺음말: 신라 고분 서방계 유리 수용경로의 탐색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