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句麗는 570년 倭國에 使節을 보내, 그동안의 적대적인 양국관계를 뒤로 하고 외교관계를 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외교의 전환이 이루어진 배경에 대해, 고구려가 당면하고 있던 현안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펴보고, 그 대책으로써의 對倭外交는 어떤 성격의 것이었는가를 살핀 것이다. 그 결과 이 무렵 고구려가 新羅의 군사적 위협으로 위기에 몰려있었다는 기왕의 이해와 달리, 고구려의 반격으로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고구려의 대왜외교는 위기에 직면해서 나온 대책이 아니라 앞서의 경험을 토대로 세워진 대외전략의 일환이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신라와 北齊 간에 冊封朝頁의 관계가 맺어졌다는 사실이 고구려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신라와 같은 한반도 내의 적대세력과, 고구려로 보아서 西方의 중국세력이 연계를 도모했다는 점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안의 내용으로 보아 재발의 가능성은 농후하였다. 고구려의 대왜외교가 장차의 변화에 대비하는 전략이 되었어야 하는 까닭은 여기에 있었다. 한편 외교의 추진시점으로 보아 고구려의 대왜외교는 陳에의 외교와 짝하였다. 특히 570년 고구려가 대왜외교에 뒤이어 진에 사절을 보냈다는 사실은 양자간의 연관성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로보아 6세기 후반 고구려의 대왜외교를 대외전략의 전부인양 이해하여서는 곤란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왜외교의 경과와 성과에 관련하여서는, 고구려가 왜국의 사정을 잘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과 왜국과의 외교관계 구축이 여의치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보아 고구려가 왜국과 연계하겠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왜국의 입장을 돌려놓아야 하였다. 이러한 외교적 노력에 의해 고구려는 595년 승려 慧慈를 聖德太子의 스승으로 보낼 수 있었고, 왜국의 외교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계까지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나아가 東海-越-大和로 이어지는 교섭로를 개척하고 이 루트가 양국 간의 공식적인 통로로 자리 잡도록 했다는 것도 570년대 대왜외교가 거둔 성과의 하나였다.
高句麗は570年、倭國に使節を送ってこれまでの敵對的だった兩國の関係をやめて外交關係を始めようとした。ここではこのような外交の轉換が始められた背景に對して高句麗が差し当たっていた懸案は何だったのかを取り調べて、その對策としての對倭の外交はどのようなこのであったのかを調べた。その結果、この頃の高句麗が新羅の軍事的な威脅で危機に追われていたのであると言う以前の理解とは異なって、高句麗の反擊で勝負はふりだしに戻もどっていたの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このような背景での高句麗の對倭の外交は危機に向かえて出た對策でなく、前の経験を元に立てられた對倭の戰略の一環であったの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できた。また、新羅は北齊の間で冊封朝貢に繋がっているという事が高句麗に問題になるのは新羅は同じ韓反島の內の敵對勢力と高句麗にして西方の中國の勢力が連繫を求めたと言う事を分かるようになった。懸案の內容で見たら、再發の可能'性は濃厚だった。高句麗の對倭の外交がこれからの変化に對する戰略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はここにあった。一方、外交の推進の時点からみたら高句麗の對倭の外交は陳への外交と同じであった。特に、570年に高句麗が對倭の外交に引き継いで陳に使節を送ったと言うことは兩者の間での關連性を敎えてくれることであった。これで見ると6世紀の後半に高句麗の對倭の外交を對外戰略の全てのように理解しては困ると言う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對倭の外交の経過と成果に關しては、高句麗が倭國の事情をよく分からなかったことと倭國との外交關係の構築が不如意だったのを分かることができる。これで見ると高句麗が倭國と連繫するという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は、まず倭國の立場を変えら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このような外交的の努力で高句麗は595年に僧侶の慧慈を聖徳太子の師として送る事ができたし、倭國の外交の政策に影響力を掛かる段階までの成果を納めることができた。進んで、東海-越-大和に繫がる交渉路を開拓してこれが兩國の間での公式的なとおりみちになるようにしたことも570年代の對倭の外交が納めた成果の一つであった。
Ⅰ. 머리말
Ⅱ. 560年代 後半의 國際情勢와 高句麗의 對外戰略
Ⅲ. 570年 高句麗 使節의 倭國 派遣과 그 性格
Ⅳ. 倭國의 動向과 高句麗의 對倭外交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