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과 의상계의 화엄사상은 중국 화엄교학과는 구별되는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독자성은 신라 下代로 갈수록 더욱 강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의상계 화엄의 독자성이 성립된 원인의 하나로서 ‘禪的 경향성’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상 및 의상계 화엄의 ‘禪的 경향성’의 사례로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을 지적하였다. 첫째, 이 선적 경향성의 원천으로,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 에 나타나는 북종선 문헌 『大乘五方便門』의 영향을 지적할 수 있다. 즉 의상의 화엄사상은 성립과정에 이미 북종선의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師資相承의 계보의식이 나타난다. 사자상승의 전승의식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며, 그 계승의 증표로 ‘法界圖印’을 사용한 사례가 있다. 이것은 선종의 사자상승 및 전승의식과 유사하다. 셋째, 북종선에서 사용되었던 指事問義의 방식을 의상계 화엄에서도 역시 즐겨 사용하고 있다. 넷째, 의상계의 華嚴性起은 부분적으로 선종의 영향 아래 성립된 것이며, 따라서 신라 下代에 선종이 전래되었을 때 의상계 화엄승들이 쉽게 선종으로 전향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사례 검토를 통해서 , 의상계의 화엄사상이 중국 화엄교학 및 여타의 화엄사상과 구분되는 독자성을 가지게 된 배경의 하나로 선종의 영향을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상계 화엄의 ‘선적 경향성’은 의상뿐만 아니라 의상계 화엄의 해석에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The Huayan thought of Euisang or Euisang line has characteristics distinguishable from the doctrines of Chinese Huayan System. Su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consolidated itself even strongly towards the last days of Silla dynasty. This article focuses upon its tendency toward Chan Buddhism as one of its bases for su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points out the following four particulars as the examples of this tendency. First, the original source for this tendency toward Chan Buddhism can be found in the influence of the Dachengwufangbienmen(大乘五方便門), a text belonging to the northern Chan(禪) tradition, in Euisang’s Hwaeomilseungbeopgyedo(華嚴一乘法界圖).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Euisang's Huayan thought is already in debt to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Chan. Second, there appears the consciousness of the inheritance from mentor to disciple(師資相承) in it. Comparatively clear is such a consciousness, evidencing it through the use of the seal of the Beopgyedo(法界圖印) for example. This is similar to such a consciousness in the tradition of Chan Buddhism. Third, the style of zhishiwenyi(指事問義, the style of illuminating a meaning by the medium of a concrete object), which was usual in the northern Chan, is also used frequently in the Huayan Buddhism of Euisang line. Fourth, the thought of Huayanxingqi(華嚴性起) in Euisang line is established partly due to the influence of Chan Buddhism, which seems to have caused the Huayan monks of Euisang line to convert easily to Chan Buddhism when Chan Buddhism was transmitted to Korea in the last days of Silla dynasty. From the above examples, it can be ascertained that the influence of Chan Buddhism might be focused as one basis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uayan thought of Euisang line apart from Chinese Huayan doctrinal system and other Huayan thoughts. Shortly, the tendency toward Chan Buddhism in the Huayan thought of Euisang lin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interpreting the Huayan thought not only of Euisang but also of Euisang line.
Ⅰ. 머리말
Ⅱ. 禪的 경향의 원천
Ⅲ. 禪的 경향의 사례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