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주지역의 출현기 목곽묘 연구

The Study on Wooden Chamber Tomb in the Beginning to Gyeongju Region

DOI : 10.35160/sjekh.2011.12.9.177

경주지역은 기원후 2~6세기까지 순수목곽묘, 위석목곽묘, 적석목곽묘 순으로 묘제의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세 가지 목곽묘는 묘광의 평면형태, 充塡材의 종류, 覆蓋方法 등에서 차이를 보이면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다. 경주지역의 신라 지배집단은 적석목곽묘를 專有墓制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적석목곽묘는 위석목곽묘에서 그리고 위석목곽묘는 순수목곽묘에서 系譜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순수목곽묘의 기원이 되는 출현기 목곽묘는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경주지역의 출현기 목곽묘는 2세기 전반 무렵에 등장한다. 출현기 목곽묘는 입지와 평면형태, 축조방법, 유물구성 등에서 목관묘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입지는 대형의 경우 우월한 위치를 선점하였으며, 평면형태는 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을 띤다. 묘광과 목곽 사이에 가장 넓은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토기를 비롯한 철기, 칠기가 다량으로 부장되었다. 목곽 내부에는 피장자의 지위를 상징하는 청동·철기유물, 목곽 상부에는 마구류를 중심으로 배치하였다. 이러한 유물은 종류와 재질· 양 등에서 묘광의 면적과 함께 피장자의 지위를 반영하고 있다. 목곽묘의 등장은 단순한 묘제의 교체가 아니라 당시 지배구조와도 궤를 같이 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의 지배구조는 묘광의 면적과 장단축비, 출토유물의 조합상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속성조합 결과 19개의 형식이 확인되었다. 가장 상위 속성인 묘광의 면적을 대입하여 상·중·하위 3개 등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속성조합에 따라 세부적인 분류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목곽묘의 등장배경은 앞 시기 목관묘 축조기의 지배집단 내부에서 분화가 진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의 지배집단은 철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지배구조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주 중심부와 주변부 간에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통합과정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문헌과 고고학적인 자료를 통하여 볼 때, 경주지역에는 탑동, 황성동, 천군동, 조양동, 덕천리, 사라리 일대에 지배집단이 존재한 것으로 생각된다.

It had been shown wooden chamber, surrounded stone-type wooden chamber, fill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s in order from 2 to 6 Century to Gyeongju region. The three type tombs were close to get little bit of difference flat of burial hole, sort of fillers, how to cove. The Sila’s governing group in Gyeongju region had adopted fill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s to burial style to exclusive possession. It would be looked for genealogy those are the filled stone-type to the surrounded stone-type, the surrounded stone-type to the wooden chamber. The early one to be origin wooden chamber tomb would be significant. Wooden chamber tomb in the beginning had been appeared in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It's different to the usual wooden chamber tomb those are location, flat shape, construction method, remains composition. The large-sized tomb got prior occupation on superior one in location, rectangle similar to square in flat shape. Earthenware, ironware, lacquered-ware were buried abundantly where was prepared most wide space between wooden chamber and burial hole. It had been buried bronze·iron remains that symbolized status of corpse to inner wooden chamber, mainly horse equipment to upper wooden chamber. It was involved status of corpse that the kind, quality, quantity to the remains mean something with square of burial hole. It’s reason to come Wooden chamber tomb that wasn’t simple change of burial style but had the same way to the governing structure at that time. It would be observed the governing structure at that time, as analyzing area, axis ratio long to short of burial hole and the setting of remains. The short-course preparation showed that it confirmed 19 types. If the area of burial hole as most higher preparation was substituted, it should be divided 3 degrees such as high·middle·low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hort-course preparation, it's possible to classify in detail. Therefore, it's reason to appear Wooden chamber tomb that the governing group had been progressed class specialization in the wooden coffin tomb. The governing group at that time seems to have been formed governing structure with iron for a basis. It’s on consolidated process with keeping the limited relationship between Gyeonju and its outskirts. There were the governing group to Tap-dong, Hwangseong-dong, cheongun-dong, Joyangdong, Deokcheon-ri, Sara-ri in Gyeonju on the basis of records, archeological specimens.

Ⅰ. 머리말

Ⅱ. 출현기 목곽묘의 검토

Ⅲ. 출현기 목곽묘의 분석 및 복원

Ⅳ. 출현기 목곽묘의 등장 배경과 축조집단의 성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