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新羅時代磨崖塔에 대한 考察

An Investigation on Rock-carving Pagodas of Shilla Dynasty

DOI : 10.35160/sjekh.2012.08.11.155

탑은 일반적으로 목탑, 전탑, 석탑 등 건축물로서 조성되었으나, 이와는 다르게 바위에 새기는 磨崖塔이 조성되기도 하였다. 마애탑은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다수가 확인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그 예가 매우 적다. 新羅時代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마애탑은 10여기 정도가 확인된다. 마애탑은 조성 방법으로 보면 線彫와 浮彫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부조로 조각되었다. 또한 마애탑은 구조적 특징에 따라 木塔形 마애탑과 石塔形 마애탑으로 구분할 수 있다. 7세기 말에 등장한 마애탑은 목탑형에서 출발하였으나 8세기 공백기를 거쳐 9세기에는 대부분 석탑형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마애탑이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신라 불교의 한 양상을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독창적인 유형으로서 의미있는 학술자료로 생각된다. 마애탑의 출현을 알리는 봉화 북지리 마애탑과 경주 남산 탑곡 마애탑 등 초기에 조성된 마애탑은 中國과 高句麗 등 주변국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로서 신라 불교 미술 발전의 단면을 보여준다. 각부의 표현 양상으로 볼 때, 모두 목탑에 근거한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어 당시 탑파의 건립이 목탑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석탑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상황을 알 수 있다. 9세기에 들어와 조성된 석탑형의 마애탑은 세부적인 표현수법에서는 단순화와 간략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당시 신라 석탑의 시대성과 양식상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라시대의 마애탑은 舍利 奉安을 위한 종교적 기념물이라는 본래탑의 기능에서 벗어나 있는 특별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당시 마애탑은 단독으로 조성되기 보다는 주로 도상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 회화적인 면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일종의 變相의 예로 佛敎 敎理의 전파나 敎化 등을 위한 특정한 목적하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A pagoda was generally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brick pagoda, stone pagoda, but sometimes, it was built as a rock-carving pagoda. Rock-carving pagoda had been created since earlier times in China and have been found a lot, but there are few found in Korea. Only about 10 rock-carving pagodas were suspected to be created in Shilla Dynasty. Rock-carving pagodas are classified into line-carving sculpture and relief sculpture according to techniques. Most of them were reliefs. Also, they can be classified into wooden pagoda-type and stone pagoda-type according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rock-carving pagodas in the 7th century were created as wooden-type but passing through the absence period of the 8th century, most of them were changed to best one pagoda-type in the 9th century. In particular, they are regarded as significant academic materials not only for under standing an aspect of Buddhism of Shilla Dynasty but also as a unique type in that rock-carving pagodas were concentrated in Gyeongju area. The rock-carving pagodas which were created in earlier times such as Bukjiri rock-carving pagoda in Bonghwa and Topgok rock-carving pagoda in Mt. Namsan in Gyeongju show development of Buddhism art. We can suspect the influence of nearby countries such as China and Goguryeo Kingdom through the relics. Seeing the expression patterns of each part, all applied a design which is based on a wooden type. This implies that most of the pagodas at that time were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and that stone pagodas were not generalized. The types of rock-carving pagodas constructed in the 9th century changed to be a stone-type in general. As for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they showed simplification,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stone pagodas at that time of Shilla Dynasty. As such, the rock-carving pagodas of Shilla Dynasty are noted as a special case having a purpose other than a religious monument for keeping Sarira. The rock-carving pagodas of the times also show picturesque properties as an element that composes the entire icon. Therefore, it is suspected that they were created as a reformed icon for the special purpose to spread Buddhism principles or edify the mass with the Buddhism.

Ⅰ. 머리말

Ⅱ. 신라시대 마애탑의 현황

Ⅲ. 조성시기의 검토

Ⅳ. 마애탑의 미술사적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