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8~10세기 동아시아 무역네트워크

A Study on the Trade Network of East Asia from the 8th to the 10th Century

DOI : 10.35160/sjekh.2012.12.12.123
  • 2

니시지마의 동아시아세계론은 907년 唐의 멸망에 의해서 국제적인 정치질서로서의 동아시아 세계가 붕괴되고, 그 대신 경제적 교역권으로서의 동아시아세계가 출현했다고 보아 10세기를 변화의 전환기로 파악했다. 확실히 중국사를 기준으로 할 때는 10세기 초의 변화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한편 한국과 일본사의 입장에서 보면 10세기의 변화는 8세기의 연장선상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특히 중국·일본과의 무역활동을 보면 8세기 초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동아시아 무역권의 성립 시기를 8세기로 소급하여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그 근거는 첫째, 唐은 8세기초 開元年間을 경계로 조공을 중심으로 한 공무역 정책에서, 사무역을 용인하는 정책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무역정책의 변화의 계기는 당의 재정압박에 따른 재원확보를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이후 安史의 난을 계기로 절도사 같은 지방관리, 市舶使 등에서 무역을 관리하는 등, 전반적으로 무역의 담당층이 늘어가는 추세를 알 수 있었다. 둘째로는 『新唐書』券43下, 地理志 7下에 실려 있는 賈耽의 『道里記』를 들 수 있다. 이처럼 9세기 초두에 세계지도, 지리總攬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작성된 것은 그 만큼 중국과 주변 여러나라와의 교섭이 빈번해진 정황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 무역 네트워크가 기능한 공간은 크게 황해, 동해, 오호츠크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황해는 장보고로 대표되는 신라 상인과 발해 상인의 활약이 주목되고, 동해는 고구려 및 발해 관련 사절단, 그리고 오호츠크해는 숙신·읍루족이 주역이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각국의 해상교통에 의한 무역은 907년 이 멸망한 뒤 반세기 간의 과도기를 거친 끝에 등장한 송왕조가 거란과 여진 등 북방 유목민족들의 군사적 압박을 받던 시기에 오히려 더욱 발달했다. 비록 송은 당의 계승국가로 자처했지만, 유목민족국가들에 대한 공포감 때문에 소극적인 외교정책을 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송은 유목민족국가들에 많은 양의 歲幣를 바치는 조공국가 처지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처럼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종주국의 지위를 상실하게 된 반면 민간의 사무역은 더욱 활발해져서 국가 간의 경계를 교묘하게 넘나들며 동아시아전역에 걸친 경제적 무역권을 구축해 갔다.

In his World Theory of East Asia, Nishijima argued that the collapse of Ting Dynasty in 907 brought down the world of East Asia as an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and led to the world of East Asia as an economic trade zone and regarded the 10th century as a turning point of changes. While it is apparent that the changes in the early 10th century are significant in Chinese history, they should be seen in the extension of the 8th century in Korean and Japanese history.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rade activities between China and Japan became prominent in the early 8th century, the trade zone of East Asia should be understood to have been formed in the 8th century. There are a couple of grounds for the argument: first, Ting Dynasty moved from the old tribute-based public trade policy to the policy allowing for private trade in the Kaiyuan Period in the early 8th century. Those changes of the trade policy were attributed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financial pressure. After An Shi Rebellion, the groups in charge of trade generally expanded to include local officials such as military governors and the Officials of Shi Bo Si. The second ground is 『Daoliji』by Jia Dan in Geograpy 7b, Xin Tang shu Vol. 43b. The fact that something that can be called a world map or comprehensive survey of geography was made in the early 9th century indicates that bargaining between China and its surrounding countries became more frequent. In East Asia, a trade network was feasible in Yellow Sea, East Sea, and Okhotsk Sea. In the Yellow Sea, the activities of Shilla traders represented by Jang Bo-go and Balhae traders were prominent. The Goguryeo- and Balhae-related delegations and Sushen Yilou played a leading role in East Sea and Okhotsk Sea, respectively. Trade via the marine transportation of each country in East Asia became even more active when Song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after 50 years of transition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Ting Dynasty in 907, was under the military pressure of northern nomads such as Kitan and Jurchen. Even though Song Dynasty declared itself as the successor of Ting Dynasty, it could not help implementing passive diplomatic policies due to its fear for nomad countries. In fact, it ended up offering a lot of annual tribute(歲幣) to nomad countries as a tribute country. While China lost its status as the suzerain state of East Asia, its private trade grew even more active. Chinese traders formed an economic trade zone across East Asia, crossing the borders skillfully.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 무역네트워크의 형성

Ⅲ. 동아시아의 무역권의 구조

Ⅳ. 동아시아 네트워크의 변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