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사찰에는 다양한 형태의 부속건물지가 존재한다. 이 중 강당 좌우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건물지는 대부분의 고대 사찰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며 건물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변이 15m 내외인 장병형인 유형(1)과 동서회랑과 연결되는 건물지의 북단이 강당 좌우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남북방향으로 세장한 유형(2), 강당과 동서축이 거의 동일하고 동서방향으로 세장한 유형 (3)이 있다. 이 중 신라의 사찰은 3유형에 해당된다. 신라 사찰 강당 좌우 건물지의 기단 축조유형은 확인이 대체로 어려우나 사찰이 위치한 지형에 따라 금당 및 목탑과 동일한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 사찰 내 강당 좌우 건물지의 내부구조는 두가지 유형이 확인된다. 황룡사지의 창건가람과 천군동사지는 동일한 규모의 방이 동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였으나 황룡사지 중건가람과 감은사지, 사천왕사지에서는 중앙어칸이 협칸보다 넓은 것으로 보아 특정 대상을 모시는 내진과 통로형 공간인 외진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조는 백제의 강당 좌우 건물지가 모두 독립된 공간인 본채와 퇴칸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상반된 양상이며 백제의 경우 ‘승방’의 가능성이 높은 반면, 신라의 사찰에서 강당 좌우 부속건물지는 의식적인 행위를 하는 예배공간으로 생각된다. 신라 사찰은 강당의 변화에 따라 좌우에 위치한 건물지가 지속적으로 확장 및 축소 분리 등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황룡사지 창건가람에서는 6×3칸 규모의 건물이 강당의 존재가 명확해지는 1차 중건 당시 12(11)×3칸 규모로 변화하였다가 감은사지 창건 당시에는 건물지의 남북길이는 강당의 것과 유사해지며, 회랑과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황룡사지 2~3차 중건 당시에는 강당 좌우에서 각각 3채의 건물지로 분리된다.
Many types of annex compounds exists within then ancient temples. Among these types of annex compounds, the symmetric building placement centered by the main hall is commonly identified in many of these ancient temples. These symmetric building placements have three distinct types. First type is a small rectangular shaped compound with 15 meters per side. Second type consists of northern side of the main hall which is connected to a corridor, stretches to both sides forming a slender form from north to south. The third type consist of identical east and west wing, centered by the main hall, with slender form stretching from east to west. Among these, the temples of Shilla period is the third type. The construction form of stylobate on each side of the main hall is difficult to replace, but in accordance with its location, the main building and wooden pagoda were constructed with the same method to the stylobate.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built-up areas on the both sides of the main hall consists of two categories. First garam of Hwangryongsaji and Chungundongsaji are placed with the same size rooms which aligns on east and west, forming two independent area. But Junggungaram, Gameunsaji, and Sacheunwangsaji have larger central rooms compared to adjoining rooms, which indicates that these areas consists of an interior enshrine certain subject and exterior which is shaped as a tunnel. This structure is conflicting that of Baekje period’s structural formation which consists of annex area on either side of the main hall holds independent space which includes the main room and a surrounding structure. In case of Baekje structure, these independent spaces are assumed to be used as nunnery, as for Shilla’s case, the annex structual compounds are assumed to be a ceremonial space for rituals. Signs of change can be observed in the both sides of the main hall of Shilla’s temples. In case of Changgungaram of Hwangryongsaji, 6 X 3 room scale structure was reformed to 12(11) X 3 roomed structure during first renovation and when Gameunsaji was constructed, the north and south sides becomes similar to that of Gameunsaji and a corridor is connected. During the 2nd and 3rd renovation, the construction sites of both sides of the main hall is diverted into three structural areas. This means that these annex areas are continuously expanded, reduced, divided and changed in accordance to the main hall.
Ⅰ. 머리말
Ⅱ. 강당 좌우 건물지의 유형
Ⅲ. 강당 좌우 건물지의 내부구조와 성격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