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노인의 성별에 따른 체중조절 행위 관련요인
Predictors of Weight-Control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of Obese Older Adult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20 No.2
- 2024.02
- 175 - 190 (16 pages)
본 연구는 비만한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체중조절 행위와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건강상태 특성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3차년도(2019-2021년) 원시 자료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로서 비만 남녀 노인 1,559명(남자 626명, 여자 933명)을대상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비만 노인의 체중조절 행위의 관련 요인은 연령(65-74세), 교육 수준(중졸 이상), 식이조절여부(시도자)이었고, 여자 비만 노인의 체중조절 행위 관련요인으로는연령(65-74세), 교육수준(중졸 이상), 소득수준(상중위), 현재 흡연(비흡연), 근력운동(실천자), 식이조절여부(시도자)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비만 노인의 체중조절 행위를 개선하기 위한 간호전략이 성별에따라 차별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control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der of obese older adults based on thei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The sample consisted of a total of 1,559 obese older adults and was extracted from the Eigh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A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control behavior among obese older men, 65-74 years old, higher education level and attempting dietary control increased the likelihood of weight-control behavior. A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control behavior among obese older women, 65-74 years old,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income level, currently not smoking, trying to perform strength exercise and attempting dietary control increased the likelihood of weight-control behavior. The finding indicate that nursing strategies should be gender-specific to improve weight-control behavior in obese older adul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