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노년교육연구 Vol. 10 No. 1.jpg
KCI등재 학술저널

평생교육 기반의 성공적 노화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successful aging research based on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본 연구는 노년의 평생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평생교육에 기반한 성공적 노화 주제의 국내 학술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평생교육 차원에서 성공적 노화 관련 연구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에 기반한 성공적 노화 주제 논문 105편을 선별하고 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2017년 고령사회 진입과 더불어 연구가 확대되었고, 평생교육 이외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련논문이 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개발된 성공적 노화 척도를 활용한 양적연구와 노년층 대상 연구 비중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양적연구에 있어 평생교육 참여와 관련있는 심리·정서적 차원의 다양한 변인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평생교육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개인적, 주관적 차원의 예측변인 간의 상관성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연구의 확산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uccessful aging based on lifelong education.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105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ince the aging society began in 2017, research has expanded and related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a successful aging scale has been developed in Korea, and quantitative research targeting the elderly ha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 Quantitative research variables were mainly used as variables at the psycho-emotional level as well a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is mainly being conducted to identify psycho-emotional predictors of lifelong education and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