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민족문화논총 제8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1945년 해방 이후 1970년대 부산 동래 회동마을 洞中의 역할과 위상

The role and status of Donjung of Hoedong village in Dongnae county of Busan in the 1970s after liberation 1945

이 연구는 부산 동래 회동마을 洞中의 역할과 위상 변화를 1945년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동중의 재원과 그 용처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회동마을도 다른 많은 마을과 마찬가지로 오랜 역사를 가진 동중이 존재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산업화시기까지 공공서비스를 대신하여 마을에서 수행한 역할과 그 위상을 논의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시기의 동중은 역사 연구의 중요 관심 사안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들은 근대 국가 건설의 일환으로 국가 주도의 공공서비스가 정착하기 전인 1970년대까지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마을과 사회 저변의 시선에서 볼 때 그 역사적 의미가 작지 않다. 회동마을은 역사적으로 향반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그렇지 않은 마을과 외형적으로 전혀 구별되지 않는다. 이 같은 구별이 특정 시기에 급작스럽게 없어진 것은 아니지만, 식민지기 이후 그 변화의 속도는 분명히 빨랐으며 이것은 조선왕조에서 변방에 해당하는 동래 지역 향반 마을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이러한 사실을 필자는 이미 논의한 바 있는데, 이 연구는 이에 이어 해방 이후의 변화를 동중의 역할과 위상을 통하여 접근하려는 것이다. 이 작업이 가능한 것은 이 마을에 1907년부터 1975년까지 지속되어 온 기록 행위와 그 회의록이 전승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에 결성된 회동의 동중은 1907년에 재조직화를 통하여 새로운 변화 속에서도 마을의 구심점 역할을 지속하였다. 이것은 해방 이후에도 이어졌으나,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그 역할이 변모되는데, 이 일련의 과정은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맞물려 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도시화의 확산과 더불어 근대적 행정체제에서 동사무소가 국가의 공적 업무를 담당하는 가운데, 동중은 마을 공동체의 질서와 운영과 관련한 또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위상이 변모하였다. 이어 오랜 역사를 가진 동중은 1976년에 해체되어 친목 위주의 계로 재조직되는데, 이것은 공공 서비스 확대라는 국가의 중요한 역할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lluminate the role of Hoedong village in Dongjung and its associated changes until the 1970s after liberation. Dongjung, which have a long history, has been discussed its role and status in the village, taking over public services until the industrialization era after liberation. Although Hoedong village is considered as a local elite village, its appearance does not represent its status, so we can see it as a typical example of local elite village. In this village, the records of Dongjung have been passed down, Especially the records in 1907 to 1975 are valuable, as they shed light on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with a broader context, providing valuable insights. After its establish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Dongjung in Hoedong village was reorganized in 1907 and served its role as the focal point of the village. This role continued after liberation, but began to change from the mid-1960s, ultimately being disorganized in 1976. Dongju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generating income for the village by acquiring new assets while also directly engaging in the village's management. Additionally, it played a certain role in addressing various policy matters after liberation. After urbanization underwent from the mid-1960s and the village office took on the official duties of the state within a modern administrative system, Dongjung underwent a transformation, carrying out another role related to the order and oper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As a result, in 1976, Dongjung underwent a process of disorganizition and was reorganized into a new form of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extremely valuable as a case study that illuminate the role and status of Dongjung in the new changes and situations after liberation.

Ⅰ. 머리말

Ⅱ. 회동마을과 동중회의록의 작성

Ⅲ. 동중의 재원과 그 내용

Ⅳ. 동중의 역할과 위상 변화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