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민족문화논총 제8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해 서경(西京)에 관한 고고학적 검토

Archae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West capital(西京) of Balhae

본 연구는 고고학적 물질자료를 중심으로 발해의 5경 15부 62주 중에서도 특히, 서경의 위치를 밝히고 그 조영 시기와 지역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발해의 5경을 연구하는 것은 효율적인 지방통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도, 대 중국 및 이민족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와를 중심으로 한 고고학적 관점에서 발해 서경의 위치를 파악한 것이다. 발해의 사람들이 남긴 많은 물질자료 중에서도 기와류, 특히 수막새류는 다양한 문양적 속성과 특징이 확인되기 때문에 편년의 설정 기준에 됨과 동시에, 발해 왕권의 상징성과 역사・지역성 및 국제교류의 양상 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연구 자료이다. 따라서 발해의 유적에서 출토되는 수막새류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견(異見)이 이어지고 있는 발해 서경의 위치 및 조영 시기와 지역성을 밝히고자 했다. 지금까지 서경의 위치로 가장 유력시 되어온 임강시에서는 발해 시대의 유물과 성터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출토된 유물과 유적에 대한 실물의 보고가 부재한 관계로 발해의 유물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성터의 형태나 구조가 발해 시대의 것인지에 관해서는 파악되지 못했다. 반면, 고구려의 두 번째 왕도로서 기능했던 집안 지역에서는 국내성을 중심으로 심엽문 발해 수막새가 출토된 실물의 사례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심엽문 발해 수막새류는 상경성터, 서고성터, 팔련성터 등에서도 출토되었다. 이처럼 발해의 유적에서 출토된 수막새들을 분석해 본 결과, 발해 서경의 위치를 임강시 일대가 아닌 집안 지역 일대로 판단할 수 있었다. 국내성을 중심으로 한 집안 지역 일대에서 출토되는 발해 시대의 수막새는 동일한 기와가 다른 지역에서는 출토되지 않아서 국내성식으로 부를 수 있다. 이러한 국내성식 발해 수막새를 통해서 국내성을 중심으로 한 서경 지역에서 왕성이 입지했던 지역들과는 차별성이 있는 기와를 올린 건물이 운영된 지역성을 상정할 수 있다. 발해의 강한 독자성을 보유한 심엽문 수막새는 시기 차이를 보이면서 복잡한 단위 문양의 구성에서 단순한 단위 문양의 구성으로 변해가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심엽문 수막새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단위 문양의 구성인 심엽문+중방을 하고 있는 단순화 된 기와인 국내성식 수막새는, 발해가 동경성에서 상경성으로 천도한 이후인 9C 대를 상한으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국내성을 중심으로 한 발해의 서경에 국가 권력과 연계된 건물이 설치되고 운영된 시기가 9C인 것을 대변해 준다. 발해의 서경이 정확히 언제부터 조영되기 시작했는지는 확언하기 어렵지만, 적어도 9C 단계에 국내성을 중심으로 한 집안 지역은 발해의 서경으로서 기능하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West capital(西京), especially among the 5京15府62州 of Balhae, focusing on archaeological material data, and to examine the timing of the contrast. Studying Balhae's 5京 is important in that it not only identifies Balhae's relations with China but also identifies Balhae's efficient local governance, and clearly understands the symbolism and history of Balhae's kingship.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location of Balhae the West capital(西京)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Among the many materials left behind by the Balhae people, roof tiles, especially various pattern attributes and production techniques, were identified, so the location of 西京 was determined through the setting of the year, locality, and aspects of international exchange. The Imgang(臨江)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location of the West capital(西京) is known to have relics and sacred sites from the Balhae period. However, due to the lack of actual reports of excavated artifacts and remains, no specific verification of Balhae's relics was made, nor was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site verified during the Balha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Jian(集安) is the second capital of Goguryeo was found to have excavated the roof tiles of Balhae, similar roof tiles from 上京城, 西古城, and 八連城. Based on this, the location of the Balhae West capital(西京) was determined archaeologic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ile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Balhae, it was possible to judge the location of Balhae the West capital(西京) as the area of the Jian(集安), not the area of the the Imgang(臨江). Front Roof-Tile from the Balhae period, which are excavated in the Jian(集安) region centered on the national inner fortress, can be called the Jian(集安) because the same tile was not excavated in other regions. Through these Balhae front Roof-Til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iled building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reas where the royal palace was located in the West capital(西京) area centered on the Jian(集安). Heart-shaped tiles with strong independence of Balhae are thought to change from complex unit patterns to simple unit patterns depending on the period. Among the heart-shaped tiles, the tile, which has a heart pattern+center pattern, i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after 9C after Balhae transferred from 東京城 to 上京城. This suggests that 9C was the time when buildings linked to state power were installed and the West capital(西京), centered on the Jian(集安).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when the West capital(西京) of Balhae was installed, but it is judged that at least at the 9C stage, the Jian(集安) area was functioning as the West capital(西京) of Balhae.

Ⅰ. 머리말

Ⅱ. 임강설(臨江說), 집안설(集安說), 절충설의 대립

Ⅲ. 수막새로 본 발해 서경의 위치 비정

Ⅳ. 수막새로 본 발해 서경의 조영 시기 및 지역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