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40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

Examining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Online Science Instruction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탐색하는것이다. 연구방법 비수도권 소재 A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3명이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하여 비대면 면담에 참여했다. 문항별 기술 통계적 분석, 성별및 계열 출신에 따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열린 문항에 대해서는 질적 텍스트(주제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비대면 면담은 열린 문항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하여 주제어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해석하였다. 설문문항은 8가지 소분류에 대한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열린 문항은 1가지 소분류로 자유롭게 연구참여자가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해 높지 않은 자기효능감이 있는 것으로해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출신 계열별 일부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있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출발점이 일부 다른 것으로해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학교 현장으로 진출하기 전 온라인과학 교수학습에 대해 어떤 인식과 준비가 되어 있는지 탐색할 수 있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이 연구는 온라인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강조할 뿐만 아니라 향후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online science instru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9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Education University A, located in a non-metropolitan area. Among them, 3 participants agreed to additional interview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item, t-test were performed based on gender and major, and qualitative text (keywords) analysis was conducted for open-ended items.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licit responses for open-ended items and were interpreted inductively through keyword analysis. The survey items were measured on a Likert scale for 8 subcategories, and one open-ended item allowed participants to freely describe their thoughts. Results: The results interpreted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relatively low self-efficacy regarding online science instru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gender,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items based on major. Ultimately, this suggests that different approaches may be needed for online science instruction based on pre-service teachers' backgrounds.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cator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readiness for online science instruction before entering the school field. Conclusion: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online science instruction and proposes the need for practical educ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