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40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The Elementary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Enactment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교 자체 평가 정책의 각기 다른 실행 맥락과 실행 동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5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핵심 행위자인 해설가(Narrator)를 주요 대상으로 면담하였다. 면담 질문과 분석은 Ball, Maguire와 Braun(2012)의 정책실행 개념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는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 과정에서 ‘해설(Narration)’에 나타난 자율성 활용 정도에 따라서 연구 대상을 ‘수동형 정책실행’과 ‘능동형 정책실행’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정책 문서도 ‘해석’에 따라 자율성의 제약 또는 확장으로 이어졌고, 해설가의 특성에 따라 설명과 안내의 목적도 달랐다. 학교 구성원의 참여 양상에 따른 해설, 정책실행 범위와 관련된 자율 활용 방법, 평가 과정의 흐름에도 차이를 보였다. 학교의 정책실행에서 차이를 만든 주요 동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해설가의 특징으로, 학교 안에서의 위치, 업무 경력, 정책 읽기와 관련된 경험 체계 등이 있다. 둘째, 학교의 해설 참여 양상으로, 해설에 ‘다자 참여’나 ‘연결된 참여’ 현상이 있었다. 셋째, 정책에 대한 의미 부여 방식으로, 학교의 전문적 문화 맥락이나 전문 분야와 큰 관련이 있었다. 결론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은 학교의 자율성 활용 정도, 학교 구성원의 참여 정도, 그리고 전문성 문화 등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다. 추후 교직원 간 관계나 공동체성의 문제, 학교의 자율성 강화 조건과 자율성 확대로 인한 학교 변화의 분석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enactment contexts and drivers of school self-evaluation policies. Methods: The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actors, namely narrator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e interview questions and analysis utilized Ball, Maguire, and Braun's (2012) concepts of policy enactment.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ubjects as ‘passive policy enactment’ and ‘active policy enact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utonomy utilized by the narrator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The analysis showed the same policy text led to the restriction or expansion of autonomy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guida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arr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how autonomy was utilized in relation to the scope of policy enactment, and the flow of the evaluation process. The main drivers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enact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 narrators, including their position in the school, their work history, and their experience with policy sense making. Second, the ways in which schools engaged with narration, including the phenomena of “multiparty engagement” and “connected engagement” in narration. Third, the way they made meaning of the policy, which was high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 cultures and schools’ specialisms. Conclusion: The enactment of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i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autonomy utilized by the school,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and the professional cul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