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40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

Examin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for Enhancing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A 교육대학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89명이 본 연구 설문에 응하였다. 그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6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문항별 기술 통계별 분석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한 자기효능감에 대해 높지 않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성별과 출신 계열을 기준으로 t-test를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출신 계열을 기준으로 ‘신념’과 ‘역량’의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열린 문항 분석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역량, 신념, 교육의 다면화된 측면에서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초등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을 위해 학생들이 과학과 관련된 활동의 참여나 수업의 개선, 학교의 행정적인 지원이나 지역사회의 과학관 활용,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디지털 소양이나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교육 맥락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보였다. 결론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 증진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탐색하여 초등학생들의 과학 흥미가 감소한 상황에 대한 인식 및 향후 그들이 초등교사로서 학생들의 과학 흥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 요건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fostering an interest in sci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Methods: A cohort of eighty-nine pre-service teachers from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ith six consenting to additional non-face-to-face interviews. Results: Analytical results from item-specific descriptive statistics revealed that these pre-service teachers exhibit low levels of self-efficacy in stimulating scientific curiosity among students. t-tests, segmented by gender and academic background, indicated no significant gender disparity; however, marked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all ‘belief’ and ‘competence’ items when comparing academic backgrounds. Open-ended question analysis highlighted a perceived lack of preparedness among preservice teachers across the multifaceted dimensions of competence, belief, and educational diversification in science interest enhancement. Nonetheles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ngaging students in science-related activities, lesson enhancement, school administrative support, utilization of community science museums, development of varied science-related programs, and educationally contextual approaches involving digital literacy and new technologi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xploring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augmenting interest in science among students may serve as a foundational step towards understanding the current decline in student interest in science and foreseeing the potential impact of future elementary teachers on student science engagemen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