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ncept-based Teaching Model

본 실행연구의 목적은 개념기반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교실에서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단원 설계원리 및 적용방안을 교육공학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기반 수업모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자문그룹과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개념기반 교육과정으로 설계되고 실행되고 있는 현장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의 틀을 마련하여 사례분석부터 모형구상, 모형숙의, 모형수정 과정을 반복하며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기반 수업모형을 개념인식, 개념연결, 개념구현, 개념전이로 정교화하고,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 적용 가능한 탐구주제수업, 역량형성수업, 프로젝트수업으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개념기반 수업의 설계-실행-생성과정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 영향을 주는 단원 설계 및 교육방법의 핵심 원리를 통합성과 목적성, 다양성과 연결성, 명료성과 효과성, 창의성과 몰입성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개념기반 수업모형 연구에 참여한 자문그룹과 워킹그룹을 심층 인터뷰하여 교수자 주도의 ‘개념적 이해 확장’과 학습자 주도의 ‘깊이 있는 학습 구현’ 측면으로 구분하여 교실 수업의 적용과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based teaching model and present unit design principles and application methods for ‘deep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hrough educational technology. To this end, we formed advisory groups and working group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cept-based teaching models and analyzed cases of field classe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concept-based curriculum. In addition, we established a framework for developing a concept-based teaching model and developed the teaching mode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case analysis, model planning, model deliberation, and model mod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based teaching model was elaborated into concept recognition, concept connection, concept implementation, and concept transfer, and was categorized into inquiry topic classes, competency building classes, and project classe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lasses.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design-implementation-creation process of concept-based classes, the core principles of unit design and teaching methods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lasses were presented as: integration and purpose, diversity and connectivity, clarity and effectiveness, and creativity and immersion. In particular,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advisory groups and working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 concept-based teaching model,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classroom teaching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instructor-led ‘expansi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er-led ‘implementation of in-depth learning’ aspects.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