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ivic Engagement

시민참여 활동은 시민의 참여로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정책적 기대와 효용에서 출발한다. 시민의 직접적인 참여도에 따라 의무적 시민(dutiful citizen)에서 참여적 시민(engaged citizen)으로 시민의 지위에도 차등이 생긴다. 주인의식 함양과 더불어 적극적인 사회참여 등 시민력에 관한 측정은 미래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고 민주적 거버넌스와 경제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자본 연구가 시작된 1994년부터 현재까지의 시민참여 측정도구 문헌을 수집하고 특성을 파악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s)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민참여는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의 역할과 역량의 변화와 더불어 참여영역도 확장됐으나, 특정 영역 차원에 한정하여 측정되고 있었다. 측정학적 분석결과 대부분의 측정도구가 매우 낮은 타당도와 신뢰도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동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시민참여 수준을 측정할 경우 측정학적 근거가 비교적 높은 측정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시민성의 개념과 시민참여의 특성을 반영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근거가 우수한 시민참여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Civic engagement activities are driven by policy expectations and utilities that focus citizen participation with the idea that they will lead to better outcomes. Depending on the level of direct participation, citizens can be categorized from dutiful to engaged citizens. Measures of citizenship, such as fostering a sense of ownership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will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societi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democratic gover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collect and characterize the literature on civic engagement measurement tools from 1994, when social capital research bega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ivic engagement, to the present. The results showed that civic engagement has expanded along with the changing roles and capacities of citizens required by society at large. Measurement analyses revealed that most instruments have very low level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When measuring civic engagement among adults who are active in their communities, there is a need to use instruments with a stronger measurement basi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ivic engagement instrument that reflects the changing concept of citizenship and the nature of civic engagement and ha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