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through Children's Self-concept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본 연구는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전국 5,200명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5년간의 종단자료를 활용해서 기술통계와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 지원, 자녀의 자아개념, 진로성숙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초기 시점에서 부모 지원은 자녀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고, 자녀의 초기 자아개념은 초기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부모 지원 변화는 자녀의 자아개념 변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다. 한편, 부모 지원 변화는 자녀의 진로성숙도 변화에는 부의 영향이 있어서 증가추세가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 지원은 자녀의 자아개념에 있어 시작부터 변화 양상에 까지 영향을 주어 자녀의 자아개념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초기에 부모 지원이 높을수록 자녀의 초기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모 지원 변화는 진로성숙도 변화와 부의 영향 관계가 나타나고 있어 증가추세가 둔화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부모 지원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 차이를 좁힐 제도적 대안의 마련, 각 변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longitudinally how parental support affects career maturity through children's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3rd to 7th years of the KELS 2013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ere analyzed using five years of longitudinal data from 5,200 students nationwide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s a result, first, parental support, children'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Second, parental support at an early point in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nd the children's initial self-concep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career maturity. Additionally, changes in parent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children's self-concept. Meanwhile, changes in parental support appeared to be slowing down as they have a negative impact on changes in children's career maturit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suppor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a children's self-concept by influencing the children's self-concept from the beginning to the pattern of change. In addition, the higher the initial parental support, the higher the children's initial career maturity. However, changes in parental support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career maturity, so the increase slowed.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research was need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alternatives to narrow the gap in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caused by differences in parental support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lastl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