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육문제연구 第91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동양육시설 초등학생들의 기초문해력 실태 조사

Investigation of Basic Literacy Skill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읽기발달수준에 따른 기초문해력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11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선별 검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기초문해력 수준을 확인하였고, 검사 결과에 따라 읽기 어려움이 심각한 학생은 ‘위험군’,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은 ‘관심군’, 평균 및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학생은 ‘일반군’으로 분류하였다. ‘위험군’ 학생은 단어 수준의 기초문해력인 한글해득과 단어읽기, ‘관심군 및 일반군’ 학생은 글 수준의 기초문해력인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에 있는 초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낮은 기초문해력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위험군’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단어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심군 및 일반군’ 학생들은 읽기유창성보다 읽기이해에서 더 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기초문해력 향상을 위한 지원과 교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basic literacy skill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 based on their reading development. A total of 11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ading screening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creening test, students with severe reading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as ‘at risk’,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as ‘some risk’, and students with average and above average reading levels were classified as ‘typical’. The ‘at risk’ students were administered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word recognition tests, while students in the ‘some risk’, and ‘typical’, were administered the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tes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 generally showed low levels of basic literacy skills. Second, almost students in the ‘at risk’ group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word recognition. Third, students in the ‘some risk’ and ‘typical’ groups were found to have greater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than reading fluenc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basic literac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 were propo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