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형태론의 관점에서 국어사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행 학교문법 속 국어사는 매우 제약된 모습을 보이지만 시대적 요구에 따른 학교문법의 변화는 국어사 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더불어 새로운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학교문법 안에서 더 나은 국어사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 내용 중 형태론과 관련된 주제를 네 가지 정도 살펴보았다: 1)음운 목록과 형태소의 기본형, 2)/ㄱ/의 탈락과 복귀, 3)이완합성어와 긴밀합성어, 4)문화가 반영된 전통 생활 어휘. 이 주제들은 국어사 교육에서 형태론의 의미와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것은 물론, 형태론을 통해 국어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Although the current school grammar is very limit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e changes in the school gramma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draw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expect a new role. Among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I think are necessary for better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school grammar, I looked at four topics related to morphology: 1)phonological inventory and the basic forms of morphemes, 2)the loss and return of /k/, 3)loose and strict compounds, and 4)traditional life vocabulary reflecting culture. These topics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orphology in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to better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rough morphology.
1. 들어가기
2. 학교문법과 국어사 교육
3. 학교문법을 위한 형태론 관련 국어사 교육 내용
4. 나오기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