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태론 26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

Interrogative final endings of noun clause function

DOI : 10.51157/kmor.2024.26.1.41
  • 62

본고는 명사절 기능의 종결 어미가 여타 종결 어미가 아닌 의문형 종결 어미에서만 나타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의 특성을 논의하고, 혼잣말로 쓰일 수 있는 종결 어미가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과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의문형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을 살펴보고, 특정 의문형 종결 어미를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로 별도로 논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다시 한번 살펴보았다. 명사절 기능을 하는 어미가 의문형 종결 어미에서만 나타나는 이유와, 의문형 종결 어미 중에서도 왜 특정한 어미들만이 명사절 기능으로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다른 비종결 기능으로 쓰일 수 있음에도 의문형 종결 어미 외의 다른 종결 어미들은 명사절 기능의 비종결 기능으로 쓰이지 못하는 이유와, 모든 의문형 종결 어미가 명사절 기능으로 쓰이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의 기존 명사절인 ‘-(으)ㅁ’ 명사절, ‘-기’ 명사절, 그리고 ‘것’ 명사절 상당 구성이 나타내지 못하는 ‘미확인된 사실에 대한 의문의 내용’의 의미 영역은 의문형 종결 어미가 이루는 명사절 상당 구성만이 나타낼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지시대상을 가져야 하는 명사적 특성에 의해 ‘-느냐’류, ‘-는가’류, ‘-는지’류, ‘-을까’류 외의 의문형 종결 어미들은 명사절 기능으로 쓰일 수 없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larify why the interrogative final endings that form a noun clause equivalents appears only i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rather than in other final endings. Additionally, the non-final function of interrogative final endings was explored,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certai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as 'Interrogative final endings of noun clause function' was reconsidered.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why endings that function as nominal clauses appear only i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and why only specific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 be used as nominal clause functions. Furthermore, it discussed why other final endings, despite their ability to be used for other non-final functions, cannot be used as non-final functions of nominal clauses, and why not all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 be used as nominal clause functions. The discussion also covered only the nominal clause structures formed by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 express the meaning area of 'inquiry about an unverified fact,' which existing Korean nominal clauses such as '-(으)ㅁ', '-기’ nominal clauses and '것' noun clause equivalents cannot convey. Finally, it discussed that due to the nominal characteristic of requiring a referent, interrogative final endings like '-느냐', '-는가', '-는지', and '-을까' can be used as nominal clause functions, while other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not.

1. 서론

2.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

3. 의문형 종결 어미의 명사절 기능

4.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의 특성

5. 그 외 의문형 종결 어미의 명사절 기능

6. 결론

참고논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