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안전문화연구 제3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존중감,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Stress, Body Esteem, and Self-Compassion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월경은 정상적인 여성의 생식기능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이 월경과 관련된 신체적, 정신적, 행동적 불편감을 경험하고 있어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존중감, 자기자애 및 월경전증후군 정도와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월경전증후군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8.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은 평균 1.86점, 학업스트레스는 2.68점, 신체존중감은 2.65점, 자기자애는 3.22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월경관련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을 분석한 결과 연령(F=3.05, p=.049), 운동빈도(F=3.53, p=.030), 월경량(F=4.48, p=.013), 생리통((F=13.8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월경전증후군은 학업 스트레스(r=.2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신체존중감(r=-.27, p<.001) 및 자기자애(r=-.23,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신체존종감(r=-.50, p<.001) 및 자기자애(r=-.56,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체존중감은 자기자애((r=.57,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심한 생리통(β=.46, p<.001), 보통의 생리통(β=.38, p<.001), 많은 월경량(β=.38, p<.001), 연령(β=.18 p=.029), 학업스트레스(β=.18 p=.022) 및 신체존중감(β=-.17, p=.026)의 순으로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6.0%이었다. 즉 생리통이 보통 이상일수록, 월경량이 많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학업스트레스 정도가 높고 신체존중감이 낮을수록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정도가 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월경증상을 완화하고 월경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월경증상의 관리뿐 아니라 학업스트레스 관리나 신체존중감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enstruation is a normal female reproductive function but many women experience physical, mental, and behavioral discomfort related to menstruation,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e active intervention is highlighte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managing premenstrual syndrome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body esteem, self-compassion, and premenstrual syndrome and influencing factors of premenstrual syndrom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180 female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8.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premenstrual syndrome was 1.86, academic stress was 2.68, body esteem was 2.65, and self-compassion was 3.22. Analyzing the premenstrual syndrom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strual-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3.05, p=.049), exercise frequency(F=3.53, p=.030), amount of menstruation(F=4.48, p=.013), and menstrual pain(F=13.81, p=.001). Premenstrual syndrome had a notabl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r=.26,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esteem (r=-.27, p<.001) and self-compassion (r=-.23, p<.001).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esteem (r=-.50, p<.001) and self-compassion (r=-.56, p<.001), and body 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r=.57,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remenstrual syndrom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result showed that severe menstrual pain(β=.46, p<.001), normal menstrual pain(β=.38, p<.001), heavy menstrual flow(β=.38, p<.001), age((β=.18 p=.029), academic stress(β=.18 p=.022), and body esteem (β=-.17, p=.026), and the level of explanation was 26.0%. In other words, more intense or regular menstrual pain, heavier menstrual flow, older age(≥24), higher academic stress, and lower body esteem were correlated with more serious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programs not only for managing menstrual symptoms but also for managing academic stress and enhancing body esteem to alleviate menstrual symptoms and improve menstrual health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V.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