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공간생산이론으로 보는 지역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 26

본고는 행정구역단위의 인구변동과 주거변화를 지역소멸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교통과 통신 등의 사회 발전 등을 통한 지역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즉, 정주적 인구나 주거개념이 아닌 생활과 이동의 관점으로 보면 지역은 소멸 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확장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에서 그 맥락을 찾을 수 있다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의 공간 생산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순천시 향매실마을 관광콘텐츠 개발 사례를 통해 관광을 통한 공간의 생산과 실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역의 지속가능성은 기존의 인구, 주거, 시설 등으로 보는 지역소멸 관점에 있지 않다. 이는 계획되고, 고안된 지배적인 공간의 재현에 따른 공간적 실천보다는 이동과 확장의 자발적 체험을 통해 생산되고 재구성되는 공간의 생산과 실천 등 재현공간에 의해 담보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1. 서론

2. 지역과 공간의 생산

3. 공간 생산과 관광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