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예술 기획을 통한 문화재 공연 콘텐츠 창출에 관한 연구

  • 30

지역 소멸은 한 시도 멈추지 않고 진행되고 있으며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지역이 소멸 위기에 처했다는 것은 단순히 한 좌표가 활성화 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넘어선다. 그 안에 담겨 있는 전통과 가치, 의미와 문화, 생활, 특산물, 특수한 환경 등이 함께 침몰한다는 의미이다. 지역은 스스로의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 모인 사람들의 언어와 문화가 다르고 기후에 따른 특산물도 다르기 때문에 의, 식, 주 등의 문화적 산물이 다르다. 지역 소멸의 가속화를 늦추거나 지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많은 영역에서 활발히 진행중이다. 사회학적, 통계적 연구들이 많으며 이 심각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소멸이라는 주제에 조금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지역의 소멸은 현대를 살아가는 구성원들이 어디에 집중하고 투자하는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관심을 조명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지역 소멸에 대해서, 적어도 지역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들에 대해서 관심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를 진행했다. 가치는 콘텐츠로 창출 될 수 있다. 핵심 소재를 설정하고 이를 예술 기획을 통해 사람들이 관심할 수 있는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목적이 될, 재구성되는 콘텐츠를 ‘공연콘텐츠’로 제한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분석은 지역소멸에 대해서 예술 영역이 기울일 수 있는 노력들과 창조성을 요청하는 당위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21 국립무형유산원 브랜드공연 <생각하는 손 - 흙과 실의 춤>의 공연 제작 과정을 분석함으로 예술기획의 전개 방식과 공연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의 전략을 도출해 내고 이를 토대로 가상의 지역문화 공연 콘텐츠 창출을 위한 시나리오를 전개한다.

1. 머리말

2. <생각하는 손 - 흙과 실의 춤>에서 드러난 공연 기획의 필요 역량과 핵심

3. <생각하는 손 - 흙과 실의 춤>에서 드러난 분야별 요소들

4. 지역 문화를 기반한 가상의 공연 브랜딩 - <충북 단양 마늘을 소재로>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