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예술경영연구 제70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튜브 댓글 분석을 통한 클래식 음악 시청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s of Classical Music Viewers through YouTube Comments Analysis : Focused on Pianist Yunchan Lim’s Performance

DOI : 10.52564/JAMP.2024.70.65
  • 160

본 연구는 2022년 반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 결승에서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연주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에 대한 유튜브 한국어 댓글을 통해, 국내 시청자들의 반응과 클래식 음악에 대한 감정적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방법은 2022년 6월 20일부터 2023년 12월 1일까지 YouTube Data API로 수집된 댓글 중 한국어 댓글만을 선별해서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친 후 텍스트 마이닝기법인 R을 사용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 LDA 토픽 모델링, 감성분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키워드에서 시청자들은 임윤찬의 연주를 통해 느낀 깊은 감정의 울림과 연주의 예술적 우수성에 큰 감동을 표현했다. LDA 토픽 모델링의 키워드에서는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 관한 내용’, ‘영상을 시청한 시청자들의 반응’, ‘K-Classic의 밝은 미래’ 등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감성분석은 일부 한계를 보였지만 긍정적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이 연구는 유튜브를 통한 클래식 음악 감상이 시청자들에게 어떤 감정적 울림을 주며, 예술적 우수성에 대한 감동을 어떻게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이다. 또한, 유튜브가 클래식 음악의 접근성을 높이고, 감상과 소통의 창구로서 하나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클래식 음악 소비의 현황을 이해하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클래식 음악 감상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Korean-language comments on YouTube videos of pianist Lim Yunchan’s performance of Rachmaninoff’s Piano Concerto No. 3 during the 2022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finals, exploring domestic viewers’ reactions and emotional perceptions of classical music.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selecting only Korean comments collected via the YouTube Data API from June 20, 2022, to December 1, 2023, refining the data, and conducting keyword frequency analysis, LDA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using R. The analysis indicated that viewers expressed deep emotional resonance and admiration for the artistic excellence of Lim’s performance through the identified keywords. The LDA Topic Modeling yielded three themes: ‘the Van Cliburn Competition’, ‘viewer responses’, and ‘the bright future of K-Classic’. Although the sentiment analysis showed some limitations, predominantly positive responses were observed. This study provides substantive data on how viewing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on YouTube can elicit emotional resonance and admiration for artistic excellence in viewers. Additionally, it confirmed that YouTube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classical music and serving as a conduit for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landscape of Korea’s classical music consumption and offers insights into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lassical music in the digital media era.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