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년 연합학술대회 자료집.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5/1057949.jpg)
문화콘텐츠로서 중국 애니메이션의 동시대성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22년 연합학술대회 자료집
- 2022.06
- 96 - 104 (9 pages)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로서 중국 애니메이션의 동시대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마이더우:쿵푸소년>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동시대성을 밝혔다. 먼저 문화콘텐츠의 주요 특성 중 하나인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동시대성에 근거하여 중국 애니메이션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애니메이션이 지닌 일상의 재정의의 특성과 전통적 질서, 가치의 재편이 지닌 함의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가치와 질서는 일상을 지배하는 주요한 특성임에 따라 현실에서 쉽게 재정의와 재인식이 이루어지기 제한된다. 전통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자유롭고 창조적인 세계를 통해 재편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통적 질서와 가치로 인해 타자화된 개인은 애니메이션을 통해 새롭게 재편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중국 내부의 전통적 가치와 질서에 따라 타자화된 개인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전통적 가치와 질서는 부분적으로 사회와 국가를 유지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한 전통에 순응하지 않는 중국의 개인은 국가와 사회의 질서를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타자로 간주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마이더우:쿵푸소년>은 도교라는 전통적 질서와 가치로 인해 타자화된 개인을 현대적 의미에서 새롭게 인식하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임을 밝혔다. 중심 캐릭터는 도교라는 전통적 질서와 가치로 인해 타자로 간주지만, 이는 현대를 형성하도록 만든 기반임을 깨닫고 점차 동시대적 의미에서 새롭게 받아들이도록 한다. 이를 통해 마이더우는 미래의 과학자로 거듭나려 하며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개인으로 변화한다. 이를 통해 볼 때 중국 애니메이션으로서 <마이더우:쿵푸소년>은 중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고 재정의하는 동시대적 문화콘텐츠로서 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Ⅰ. 문화콘텐츠로서 중국 애니메이션
Ⅱ. 타자로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개인의 정체성
Ⅲ. 사회적 주체와 타자 사이의 마이더우
Ⅳ.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양가적 개인, 중국 애니메이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