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년 연합학술대회 자료집.jpg
학술대회자료

스포츠 중계의 엔터테인먼트화에 관한 연구

  • 22

스포츠 선수의 예능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진출이 활발해졌다. 스포츠 선수는 예능프로그램에서 대부분 게스트로 초청되거나, 자신의 전문 분야가 아닌 다른 스포츠 종목으로 경기하며 흥밋거리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스포츠 선수가 자신의 전문 종목으로 경기하는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도 증가하였다.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연진은 스포츠 선수 중심인가, 연예인 중심인가. 둘째, 출연진이 현역 선수 또는 은퇴 선수의 단일형인가, 현역선수와 은퇴 선수의 혼합형인가. 셋째, 스포츠 선수가 자신의 분야의 스포츠로 경기하는가, 다른 종목의 스포츠로 경기하는가. 최근 현역 선수가 자신의 종목에서 경기하는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 등장하였는데, 바로 KBS2 <씨름의 희열>이다. 이 방송 프로그램은 스포츠 중계와 근접한 형태를 지닌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이다. <씨름의 희열>은 씨름 중계의 주 시청 대상을 중장년층 남성에서 젊은 여성층으로 확대하였으며, 씨름 중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씨름의 희열>에 대한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논고는 민속씨름 중계 형태의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고, 중계 형태를 지닌 예능 프로그램의 예능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고는 민속씨름 중계와 <씨름의 희열>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제작요소인 구성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살펴본다. 또한, <씨름의 희열>의 예능적 요소는 제작의 구성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대입하여 분석한다.

Ⅰ. 서론

Ⅱ.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의 현황과 제작 요소

Ⅲ. 민속씨름 중계와 <씨름의 희열>의 비교

Ⅳ. <씨름의 희열>의 엔터테인먼트적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