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수동골상여소리보존회>의 실천공동체적 특성 연구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22년 연합학술대회 자료집
- 2022.06
- 281 - 290 (10 pages)
문화적 정체성과 지역 전통문화의 전승현장인 마을은 지역문화콘텐츠의 원천이 될 수 있다. 마을의 민속문화는 현대화를 거쳐 지역문화 보존회로 남아있으며, 이 보존회는 지역문화콘텐츠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논문은 마을의 상두계에서 보존회로 현대화를 거친 <양양 수동골상여소리보존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자체와 보존회원의 인터뷰 및 자료를 통하여 이를 Lave&Wenger가 주창한 실천공동체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실천공동체적 마을민속공동체가 마을공동체 전체의 학습과 실천을 확산시켰다. 또한 문화적 실천 주체인 보존회는 지역 정체성을 지닌 인적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앞선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Ⅰ. 서론
Ⅱ. 실천공동체의 개념
Ⅲ. 실천공동체로서의 상두계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