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년 연합학술대회 자료집.jpg
학술대회자료

한글서예의 현대적 변용과 전승으로서 손글씨 콘텐츠의 방향성 제언

  • 19

오늘날 급증하고 있는 한글 캘리그라피에 대한 관심과 유행은 한글 서예의 질적 하락을 야기 시킨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서예와 손 글씨에 대한 관심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디지털 시대 기계문명이 대체해가고 있는 육필문화의 위기에 대한 대처가 될 수 있으며 한글문화콘텐츠 개발에도 긍정적인 시각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의 부흥은 창제된 당시가 아닌 조선후기에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한글이 가진 민족적이고 민주적인 성격이 대중매체인 소설과 조우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한글은 창제 당시 애민사상과 자주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백성의 교화를 목적으로 반포되었다. 이를 위해 한글 목판본 인쇄를 위한 판본체가 발전하였고, 이후 왕실을 중심으로 필사체인 궁체가 발달하였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백성들의 문화 속에서 꽃피운 한글 서체는 민체다. 한글 캘리그라피의 도입과 확산은 전통 서예라는 기반 위에 현대 디자인이 융합하면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글 민체의 등장과 성장은 대중매체인 한글 소설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한글 캘리그라피의 등장과 성장은 대중들의 감성과 아날로그에 대한 수요시장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글 캘리그라피가 가진 개방적이고 창의적이며 자유분방한 특성은 한글 민체의 성격과 닮았으며, 그 시대적 배경 역시 비슷하다. 이러한 양자간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디지털 시대 육필문화의 전승으로서 한글 서예가 가진 가치를 상기시키고 향후 한글 서예, 보다 근원적으로는 손 글씨가 문화콘텐츠로 기능하기 위한 방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Ⅰ. 서론

Ⅱ. 한글 창제와 한글 서예

Ⅲ. 한글 서예의 현대적 변용과 전승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