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년 연합학술대회 자료집.jpg
학술대회자료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30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은 1999년 문화산업 진흥법 제정, 2001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문화콘텐츠 담론은 문화산업의 관점에서 미래의 먹거리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90년대를 거치며 활발하게 논의되던 대중문화 담론은 자연스럽게 문화콘텐츠 담론이 대체하였다. 하지만 산업적 측면이 강화된 문화콘텐츠 담론은 상대적으로 대중문화 담론이 가지고 있던 비판적 속성을 약화시켰다. 2009년 공공기관 선진화 사업으로 관련 기관들이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 통합되며, ‘문화콘텐츠’라는 용어 역시 ‘콘텐츠’라는 용어로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제 콘텐츠는 모든 문화물의 총칭이자 대명사처럼 사용되게 되었다. 하지만 이로인해 ‘콘텐츠’라는 모호한 용어 속으로 모든 개별 콘텐츠들이 가지는 담론의 주체성이 사라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Ⅰ. 서론

Ⅱ.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

Ⅲ. 문화콘텐츠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