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국립한글박물관의 소통 확장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 연구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22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 2022.10
- 43 - 51 (9 pages)
2022년 8월 24일 프라하에서 개최된 ICOM(국제박물관협의회)에서 박물관의 새로운 정의가 수용되었다. 이제 박물관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유연하게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거듭나야 하는 시점이다. 오늘날 박물관은 디지털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융복합적 시도에 도전하면서 대중과 인류의 문화유산이 만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 요구도 받고 있다. 또한 박물관 전문가들은 뉴미디어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이라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주제로 하는 박물관으로 한글 창제와 한글의 역사, 한글로 작성된 편지글, 서적 등 관련 유물과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한글박물관의 전시 가운데 『청구영언』전시를 주목하였다.『청구영언』은 김천택이 고려시대부터 전해지는 가요를 집대성하여 편찬한 가요집이다. 현재의 전시는 원본 전시와 모니터를 통해서 소개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이 전시에서는 이 시가들이 과거의 가요였으며 음률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전시를 확장하는 방안으로 모바일 플랫폼을 제안하여 대중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1. 머리말
2. 국립한글박물관의 설립 취지와 전시
3. 우리노래의 원류 『청구영언』에 대해서
4. 『청구영언』을 주제로 한 모바일 플랫폼 제안
5. 맺음말